상산김씨 약사
고객센터
내원령파
010-6514-2540
시랑공파
010-9024-7378
상담운영시간
AM 09:00~PM06:00
주말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인물고
상산김씨 약사 > 인물고
고려의 과거제도는 후주인後周人 쌍기雙冀의 건의로 958년(광종 9) 당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창설하였고, 성종成宗 때 합격자를 우대하였다. 초기의 과거시험은 제술과製述科:進士科·명경과明經科·잡과雜科:醫卜科를 두었으며, 1136년(인종 14)에 이르러 정비되었다. 이 밖의 과거에는 승과僧科:敎宗試와 선종시禪宗試가 있었으며, 무신武臣의 등용을 위한 무과武科는 1390년(공양왕 2)에 실시하였기 때문에 고려시대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여 거의 없었다. 과거의 응시자격은 양인良人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민이나 승려의 자식은 응시할 수 없었다. 응시 절차는 3차에 걸쳐 시험을 보게 하였다. 처음에는 매년 과거를 실시했으나 성종 때에는 3년式年試에 한번 씩 실시하였고, 현종 때에는 격년으로, 그 후에는 매년 또는 격년으로 실시하였다. 1차 시험에서는 중앙개경에서 선발한 자를 상공上貢, 지방에서 선발한 자를 향공鄕貢, 외국인 중에서 선발한 자를 빈공賓貢이라고 하였다. 2차 시험은 1차 시험에 합격한 삼공三貢 : 상공·향공·빈공들을 국자감國子監에서 다시 선발국자감시 : 재시하여 이에 합격한 자貢士와 국자감에서 3년 이상 수학한 학생, 벼슬에 올라 300일 이상 경과한 자들이 최종시험인 3차 시험東堂監試을 보게 하였다.
격자는 제술과는 갑甲·을乙의 2과로, 명경과는 갑·을·병·정의 4과로 나누었다. 합격자에 정원은 없었으나 중기 이후 대체로 33명이었다. 이와 같은 과거는 예부에서 관장하였고, 시험관을 지공거知貢擧라고 하였다. 그리고 최종 시험에서 1등을 장원壯元, 2등을 아원亞元:榜眼, 3등을 탐화探花라고 하였고, 빈공에서 합격한 자를 별두別頭라고 하였다. 때로는 동당감시에 합격한 사람도 임금이 다시 시詩·부賦·논論으로 친히 시험을 보게 하여 등급을 정하는 복시覆試 : 염전중시(簾前重試)·친시(親試)제도가 있었다.
이러한 복시는 성종 때 처음 시작하였으나 상례적인 제도는 아니었다. 최종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홍패紅牌를 주었는데, 이것이 곧 합격증이었다. 이와 같은 과거제도는 지공거와 합격자가 좌주座主와 문생門生의 관계를 맺어 일생을 통하여 그 예禮가 부자간과 같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학벌이 형성되어 출세의 배경이 되었다. 과거 이외에 5품 이상인 관리의 자제에게는 1명에 한하여 정치적 특혜를 인정하여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고 관리에 채용한 음서제蔭敍制가 있었다.
[일러두기]
1.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 시조始祖를 달리하는 김조金祚 후손들의 급제여부는 기록하지 않는다.
2. 고려시대 방목은 시대별로 남아 있는 것이 없으므로 역대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향지鄕誌』에 기록 되어 있는 분에 한해서 기록한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연 방 | 과 종 | 관 직 | 세 | 파 속 | 부 휘 |
김리(金理) | 예종 | 미상 | 미상 | 예주방어사 (禮州防禦使) |
7 | 상계 | 김치화(金致和) |
김우(金瑀) | 명종 11 | 신축방(1181) | 국자감 시문과 장원 |
자헌대부 (資憲大夫) |
7 | 상계 | 김치화(金致和) |
김록(金祿) | 충렬왕 22 | 병신방(1296) | 을과 1위 장원 | 판사(判事) | 10 | 상계 | 김일(金鎰) |
김축(金築) | 충숙왕 | 미상 | 미상 | 예문관 대제학 (禮文館大提學) |
10 | 상계 | 김분(金玢) |
김위(金韙) | 충숙왕 | 미상 | 진사시 | 10 | 상계 | 김유요(金惟堯) | |
김득제(金得齊) | 충목왕 3 | 정해방(1347) | 진사시 1등 장원 | 삼사우사 (三司右使) |
11 | 상산군파 | 김록(金祿) |
김경생(金慶生) | 공민왕 9 | 경자방(1360) | 진사시 16위 | 태학진사 (太學進士) |
12 | 제학공파 | 김유화(金有和) |
김지(金摯) | 공민왕 18 | 기유방(1369) | 문과 병과 | 예조참판 (禮曹參判) |
13 | 시랑공파 | 김천용(金天用) |
문과文科
고제과거古制科擧의 하나로 문관文官을 뽑던 시험인데 현 고등고시高等考試와 같다.
무과武科
무관을 뽑던 과거로 대개 3년마다 한번 씩 식년式年에 무예武藝, 병서兵書를 시험을 보였는데 초시初試, 복시覆試, 전시殿試의 3단계가 있었다.
사마시司馬試
새로 소과小科에 합격한 진사進士와 생원生員의 이른다.
증광시增廣試
나라에 경사가 있을 경우에 기념으로 보이던 과거이다. 1401년(태종 원년)에 처음 실시되어 본래 임금의 등극을 축하하는 의미로 즉위년 또는 이듬해 실시하였으나 14대 선조宣祖때 부터 확대되어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마다 실시되었다.
정시庭試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대궐 안마당에서 보이던 과거이다.
별시別試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보이던 과거이다. 1419년(세종 원년)에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식년시式年試
자子·묘卯·오午·유酉 등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 즉 갑자甲子·정묘丁卯·병오丙午·계유癸酉년 등으로 이 해가 돌아오면 과거를 보이는 호적조사戶籍調査를 하였다. 3년마다 돌아온다.
감시監試
생원生員과 진사進士를 뽑던 과거제로 달리 사마시司馬試라고도 한다.
알성시謁聖試
조선시대 국왕이 봄, 가을로 성균관에 행차하여 문묘 제례를 행한 뒤 실시된 비정규 문과, 무과 시험이다. 1414년(태종 14)에 처음 실시하였으며 문과, 무과만 치렀다.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제안으로 실시된 관리 채용 제도이다. 경학經學에 밝고 덕이 높은 사람을 천거하게 하여 대책對策으로 시험을 보아 뽑았다. 이후 폐지되었다.
친시親試
과거를 보일 때 임금이 몸소 나와서 시험을 보이는 것이다.
전시殿試
복시覆試에서 선발된 사람에게 왕이 몸소 보이던 과거이다. 즉 최종의 시험으로 결과에 따라 갑과甲科, 을과乙科, 병과丙科로 등급을 정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조선 시대에 제도화되었다.
중시重試
문과급제한 당하관堂下官 : 종3품을 위하여 둔 과거이다. 고려 예종睿宗 17년에 최초로 실시하였다. 조선조 1427년(세종 9)에 제도화되었으며 10년에 한번 씩 실시하여서 이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당상관堂上官 : 정3품으로 품계를 올려 주었다.
갑과甲科
문과 복시覆試합격자에게 예조禮曹에서 전시殿試를 보여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의 하나이다. 성적순에 따라 갑과甲科, 을과乙科, 병과丙科로 구분하여 갑과甲科의 정원은 3人이며, 1등은 장원랑壯元郞 : 종6품, 2등은 방안랑榜眼郞 : 정7품, 3등은 탐화랑探花郞 : 종7품이라 하였다.
을과乙科
문과 복시합격자를 예조禮曹에서 전시殿試를 보여 성적 제2위로 7명을 뽑았다.
병과丙科
문과 복시합격자를 예조禮曹에서 전시殿試를 보여 성적 제3위로 23명을 뽑았다.
[일러두기]
1.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 시조始祖를 달리하는 김조金祚 후손들의 급제여부는 기록하지 않는다.
2. 역대『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하되『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내의급제기록,『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 11655]) 내의 급제 기록,『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과 비교해서 상이한 점이 있으면 주석을 달아 바로 잡았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연 방 | 과 종 | 관 직 | 파 속 | 세 | 파 속 |
김복항(金復恒) | 정종 1 | 기묘년(1399) 식년시 | 병과 7위 | 직예문관 (直禮文館) |
상주(尙州) | 14 | 상서공파 |
김상직(金尙直) | 태종 5 | 을유년(1405) 식년시 | 병과 1위 | 집현전 부제학 (集賢殿副提學) |
상주(尙州) | 14 | 내원령파 |
김장(金張) | 태종 5 | 계유년(1423) 식년시 | 진사 6위 | 사헌부 정언 (司憲府正言) |
단성(丹城) | 14 | 제학공파 |
김장춘(金長春) | 세종 16 | 갑인년(1434) 알성시 | 을과 3등 10위 | 판사(判事) | 상주(尙州) | 17 | 상산군파 |
1)김윤복(金閏福) | 세종 20 | 무오년(1438) 식년시 | 정과 11위 | 사헌부 지평 (司憲府持平) |
상주(尙州) | 18 | 제학공파 |
김효급(金孝給) | 세종 23 | 신해년(1441) 식년시 | 정과 18위 | 예조 참의 (禮曹參議) |
평양(平壤) | 16 | 영중추공파 |
2)김양경(金良璥) | 세종 24 | 임술년(1442) 친시 | 병과 6위 | 공조 판서 (工曹判書) |
서울 | 누보(漏譜) | |
김경손(金慶孫) | 문종 1 | 신미년(1451) 증광시 | 을과 2위 아원 | 시정(寺正) | 상주(尙州) | 15 | 상서공파 |
김이용(金利用) | 단종 1 | 계유년(1452) 증광시 | 정과 12위 | 사헌부 지평 (司憲府持平) |
단성(丹城) | 15 | 제학공파 |
3)김윤선(金潤善) | 세조 2 | 병자년(1456) 식년시 | 정과 16위 | 사헌부 감찰 (司憲府監察) |
상주(尙州) | 18 | 제학공파 |
4)김양완(金良琬) | 세조 3 | 정축년(1457) 알성시 | 정과 3위 | 군수(郡守) | 서울 | 누보(漏譜) | |
5)김양전(金良琠) | 세조 8 | 임오년(1462) 식년시 | 정과 3위 | 승문원 교감 (承文院校勘) |
서울 | 누보(漏譜) | |
김의강(金義康) | 세조 10 | 갑신년(1464) 온양별시 | 정과 6위 | 병조 참의 (兵曹參議) |
상주(尙州) | 17 | 내원령파 |
김정용(金貞用) | 세조 12 | 별술년(1466) 알성시 | 을과 2등 3위 | 승문원 박사 (承文院博士) |
단성(丹城) | 15 | 제학공파 |
김종한(金從漢) | 성종 8 | 정유년(1477) 식년시 | 병과 4위 | 예조 참의 (禮曹參議) |
옥천(沃川) | 15 | 제학공파 |
김사원(金士元) | 성종 23 | 임잔년(1492) 별시 | 병과 9위 | 첨지사(僉知事) | 상주(尙州) | 18 | 상산군파 |
김정미(金貞美) | 연산군 2 | 병진년(1496) 식년시 | 병과 12위 | 정랑(正郞) | 상주(尙州) | 16 | 상서공파 |
김수돈(金守敦) | 연산군 3 | 정사년(1497) 별시 | 병과 6위 | 첨정(僉正) | 단성(丹城) | 17 | 제학공파 |
김정간(金貞幹) | 연산군 10 | 갑자년(1504) 별시 | 정과 15위 | 목사(牧使) | 상주(尙州) | 16 | 상서공파 |
김사원(金士元) | 중종 2 | 정미년(1507) 중시 | 3등 3위 | 좌통례(左通禮) | 상주(尙州) | 18 | 상서공파 |
김종필(金宗弼) | 중종 5 | 경오년(1510) 식년시 | 병과 19위 | 성균관 전적 (成均館典籍) |
상주(尙州) | 17 | 상서공파 |
김광복(金匡復) | 중종 8 | 계유년(1513) 별시 | 3등 3위 | 도사(都事) | 상주(尙州) | 16 | 낙성군파 |
김옹(金顒) | 중종 14 | 기묘년(1519) 현량과 | 3등 26위 | 성균관 전적 (成均館典籍) |
상주(尙州) | 18 | 내원령파 |
김광준(金光準) | 중종 14 | 기묘년(1519) 별시 | 병과 12위 | 좌찬성(左贊成) | 상주(尙州) | 16 | 전서공파 |
김렴(金濂) | 중종 39 | 갑진년(1544) 별시 | 병과 4위 | 한산군수 (韓山郡守) |
단성(丹城) | 15 | 제학공파 |
김귀영(金貴榮) | 명종 2 | 정미년(1547) 알성시 | 병과 1위 | 좌의정(左議政) | 상주(尙州) | 20 | 상산군파 |
김충(金冲) | 명종 6 | 신해년(1551) 알성시 | 갑과 1위 장원 | 성균관 사성 (成均館司成) |
상주(尙州) | 19 | 내원령파 |
김택(金澤) | 선조 1 | 무진년(1568) 증광시 | 병과 2위 | 사헌부 감찰 (司憲府監察) |
백천(白川) | 16 | 낙성군파 |
김홍민(金弘敏) | 선조 3 | 경오년(1570) 식년시 | 병과 3위 | 홍문관 전한 (弘文館典翰) |
상주(尙州) | 20 | 내원령파 |
김덕겸(金德謙) | 선조 16 | 계미년(1583) 별시 | 을과 3위 | 중추부사 (中樞府事)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홍미(金弘微) | 선조 18 | 을유년(1586) 식년시 | 을과 2위 | 대사간(大司諫) | 상주(尙州) | 20 | 내원령파 |
김덕근(金德謹) | 선조 22 | 기축년(1589) 증광시 | 병과 18위 | 순창군수 (順昌郡守)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덕함(金德諴) | 선조 22 | 기축년(1589) 증광시 | 병과 22위 | 사헌부 대사헌 (司憲府大司憲)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덕겸(金德謙) | 선조 30 | 정유년(1597) 중시 | 병과 1위 | 중추부사 (中樞府事)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혜(金寭) | 선조 38 | 을사년(1605) 증광시 | 을과 2위 | 풍기군수 (豊基郡守) |
상주(尙州) | 19 | 낙성군파 |
6)김극성(金克成) | 선조 38 | 을사년(1605) 증광시 | 을과 6위 | 사간원 사간 (司憲府司諫) |
장성(長城) | 16 | 영중추공파 |
김개(金闓) | 광해군 2 | 경술년(1610) 알성시 | 갑과 1위 장원 | 한성부 좌윤 (漢城府左尹) |
서울 | 21 | 상산군파 |
김상(金尙) | 광해군 2 | 경술년(1610) 별시 | 병과 9위 | 강원 감사 (江原監司)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이일(金以一) | 광해군 10 | 무오년(1618) 증광시 | 병과 29위 | 교서관 정자 (校書館正字) |
청주(淸州) | 21 | 상서공파 |
김휼(金霱) | 인조 1 | 계해년(1623) 알성시 | 을과 1위 아원 | 승정원 승지 (承政院承旨)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설(金卨) | 인조 1 | 계해년(1623) 정시 | 병과 1위 탐화랑 | 봉상시 첨정 (奉常寺僉正)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호철(金好哲) | 인조 11 | 계유년(1633) 식년시 | 병과 19위 | 교서관 정자 (校書館正字) |
상주(尙州) | 22 | 내원령파 |
김우석(金禹錫) | 효종 2 | 신묘년(1651) 별시 | 병과 8위 | 공조 판서 (工曹判書) |
서울 | 19 | 낙성군파 |
김윤장(金潤璋) | 현종 1 | 경자년(1660) 식년시 | 을과 6위 | 거산찰방 (居山察訪) |
풍기(豊基) | 20 | 낙성군파 |
김한로(金漢老) | 숙종 1 | 을묘년(1675) 식년시 | 병과 20위 | 성균관 직강 (成均館直長) |
함평(咸平) | 20 | 영충추공파 |
김연(金演) | 숙종 10 | 갑자년(1684) 정시 | 병과 10위 | 호조 판서 (戶曹判書)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중태(金重泰) | 숙종 16 | 경오년(1690) 식년시 | 병과 26위 | 찰방(察訪) | 함평(咸平) | 21 | 영중추공파 |
김경뢰(金慶賚) | 숙종 19 | 계유년(1693) 식년시 | 병과 13 | 성균관 전적 (成均館典籍) |
예천(醴泉) | 24 | 내원령파 |
김동필(金東弼) | 숙종 30 | 갑신년(1704) 춘당대시 | 을과 1위 아원 | 이조판서 (吏曹判書)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광세(金光世) | 영조 9 | 계축년(1733) 알성시 | 병과 1위 탐화랑 | 사헌부 대사간 (司憲府大司諫) |
서울 | 22 | 낙성군파 |
김이복(金以復) | 영조 9 | 계축년(1733) 식년시 | 을과 4위 | 승정원 정자 (承政院正字) |
상주(尙州) | 22 | 전서공파 |
김관흠(金觀欽) | 영조 47 | 신묘년(1771) 식년시 | 병과 22위 | 사헌부 장령 (司憲府掌令) |
함평(咸平) | 23 | 영중추공파 |
김우해(金宇海) | 정조 4 | 경자년(1780) 식년시 | 갑과 1위 장원 | 충청도사 (忠淸都事) |
함평(咸平) | 24 | 영주추공파 |
김성추(金聲秋) | 정조 4 | 경자년(1780) 식년시 | 을과 7위 | 혜릉 령 (惠陵令) |
상주(尙州) | 25 | 내원령파 |
김진각(金珍恪) | 정조 6 | 임인년(1782) 평안별시 | 병과 5위 | 평양(平壤) | 24 | 낙성군파 | |
김용견(金龍見) | 정조 10 | 병오년(1786) 식년시 | 을과 3위 | 사헌부 장령 (司憲府掌令) |
상주(尙州) | 26 | 내원령파 |
김익거(金益耟) | 순조 1 | 신유년(1802) 식년시 | 갑과3위 탐화랑 | 좌통례(左通禮) | 상주(尙州) | 26 | 전서공파 |
김재명(金載明) | 순조 7 | 정묘년(1807) 식년시 | 병과 7위 | 찰방(察訪) | 서울 | 23 | 낙성군파 |
김재성(金載成) | 순조 7 | 정묘년(1807) 식년시 | 병과 8위 | 예조좌랑 (禮曹佐郞) |
서울 | 23 | 낙성군파 |
김우순(金遇順) | 순조 9 | 기사년(1809) 증광시 | 병과 6위 | 사서(司書) | 서울 | 25 | 낙성군파 |
김용익(金龍翼) | 순조 19 | 기묘년(1819) 식년시 | 을과 4위 | 사헌부 장령 (司憲府掌令) |
상주(尙州) | 26 | 내원령파 |
김영기(金永基) | 순조 22 | 임오년(1822) 식년시 | 병과 29 | 공조 참판 (工曹參判) |
상주(尙州) | 27 | 내원령파 |
김대묵(金大默) | 순조 28 | 무자년(1828) 식년시 | 병과 7위 | 정주(定州) | 27 | 낙성군파 | |
김인섭(金麟燮) | 헌종 12 | 병오년(1864) 식년시 | 병과 26위 | 사헌부 지평 (司憲府持平) |
단성(丹城) | 27 | 제학공파 |
김병휴(金秉休) | 철종 4 | 계사년(1853) 정시 | 병과 12위 | 사헌부 정언 (司憲府正言) |
상주(尙州) | 28 | 내원령파 |
김병위(金秉緯) | 철종 9 | 무오년(1858) 식년시 | 병과 27위 | 이조정랑 (吏曹正郞) |
보은(報恩) | 28 | 내원령파 |
김현묵(金顯默) | 고종 2 | 을축년(1865) 식년시 | 병과 31위 | 병조좌랑 (兵曹佐郞) |
안변(安邊) | 28 | 낙성군파 |
김용규(金容圭) | 고종 8 | 신미년(1872) 알성시 | 병과 1위 | 장례원 부경 (掌隷院副卿) |
서울 | 27 | 낙성군파 |
1) 김윤복金閏福 : 군수郡守 김침金忱의 장자로, 1438년(세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정과丁科 11위로 급제하였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로 이를 바로 잡는다.
2) 김양경金良璥 : 김양경은 자손들이 절손되어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에 기록하지 않았다.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에는 본관이 광주인光州人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오류이다. 『성종실록成宗實錄』 김양경金良璥의 졸기卒記을 보면 본관이 상주尙州로 기록 되어 있고, 의과醫科에 합격한 김양경의 아들 김괴金塊의 『의과방목醫科榜目』과 김양전金良琠의 손자 김윤공金胤恭의 『가정4년을유2월21일생원시방목嘉靖四年乙酉二月二十一日生員試榜目』(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 貴 379 1522])에도 본관이 상산商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강원도선생안江原道先生案에도 본관이 상산商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김양경의 아우인 김양전金良琠이 경상도 사림士林과 결성한 금란계金蘭契 명부에 “通訓大夫行草溪郡守金良琠字待賈本尙州”라고 되어있다. 이외에도 『안동김씨대동보安東金氏大同譜』〔속칭 : 후안동김씨〕, 『청주경씨세보淸州慶氏世譜』 등에도 김양경에 관한 기록이 전하는데 모두 본관이 상산商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3) 김윤선金潤善 : 군수郡守 김침金忱의 2자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정과丁科 16위로 급제하였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로 이를 바로 잡는다.
4) 김양완金良琬 : 김양경金良璥의 아우로 내용은 [주석]2)와 동일하다.
5) 김양전金良琠 : 김양경金良璥의 아우로 내용은 [주석]2)와 동일하다.
6) 김극성金克成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 “영광靈光”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오류이다.
사마시는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를 이르는 말이다. 고려시대 국자감시와 승보시를 계승한 것으로 진사시는 전자를, 생원시는 후자를 계승하여 성립된 제도이다. 생원과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경전에 관한 지식을 시험하였다. 그래서 생원과를 달리 강경과講經科 또는 치경과治經科라고 한다.
시험방법은 경서를 외우게 하고 뜻을 새기게 하였는데 잘하는 순서로 통通·약略·조粗·불통不通을 나누어 채점하였다. 통은 일점一占, 약은 이점二占, 조는 반점半占, 불통은 영점零占으로 하여 총 십사점반十四占半 이상에 달하는 자를 급제자로 정하였다. 진사과는 부賦와 시詩의 제목으로 문예를 창작의 재능을 각각 시험하였다. 그래서 진사과를 달리 제술과라고도 하였다. 시험방법은 제목을 대고 운자韻字를 정하여 장지에 18수의 시를 짓게 하고 상상上上·상중上中·상하上下, 이상二上·이중二中·이하二下, 삼상三上·삼중三中·하하下下로 정한 뒤 상상上上은 구점, 하하下下는 일점으로 등분하여 채점하였다.
대개 이하二下, 사점까지를 택하여 급제로 정하였다. 생원·진사시에는 3년에 한차례씩 정규적으로 실시하는 식년시式年試와 국왕의 즉위와 같은 큰 경사가 있을 때 이를 기념해 실시하는 증광별시增廣別試가 있었다. 이 시험에서 생원과 진사를 각각 100인씩 뽑고 이들에게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부여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었다.
사마시는 한 사람이 같은 해 생원과와 진사과에 모두 응시할 수도 있었는데 그렇게 해서 다 합격한 사람을 양시兩試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총 230회의 사마시를 실시하였다. 이들 급제자들을 기록한 책이 『사마방목司馬榜目』인데 전란과 일제 강탈 등으로 인해 그 중 193회만이 전해오고 있으며 성종成宗조 이전의 것은 거의 전하지 않는다.
[일러두기]
1.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 시조始祖를 달리하는 김조金祚 후손들의 급제여부는 기록하지 않는다.
2. 역대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를 기준으로 기록하되 『사마방목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과 상이한 점이 있으면 주석을 달아 바로 잡았다.
3. 특정 왕조의 『사마방목司馬榜目』이 소실되어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지방 『향지鄕誌』와『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 기타문헌으로 입증할 수 있는 분에 한해 기록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연 방 | 거주지 | 세 | 파 속 | 부 휘 |
1)김복항(金復恒) | 태조 | 미상(주석참고) | 상주(尙州) | 14 | 상서공파 | 김수(金遂) |
2)김상직(金尙直) | 태조 | 미상(주석참고) | 상주(尙州) | 14 | 내원령파 | 김겸(金謙) |
3)김장춘(金長春) | 미상 | 미상(주석참고) | 상주(尙州) | 17 | 상산군파 | 김치(金錙) |
김여해(金汝諧) | 태종 14 | 갑오년(1414)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4 | 상서공파 | 김추(金樞) |
김현(金鉉) | 태종 14 | 갑오년(1414)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4 | 상서공파 | 김추(金樞) |
김여해(金汝諧) | 태종 14 | 갑오년(1414)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2 | 상서공파 | 김치경(金致經) |
4)김윤복(金潤福) | 미상 | 미상(주석참고) | 상주(尙州) | 14 | 제학공파 | 김침(金忱) |
5)김귀지(金貴知) | 세종 20 | 무오년(1438)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5 | 내원령파 | 김상직(金尙直) |
6)김상녕(金尙寧) | 단종 1 | 계유년(1453) 식년시 | 상주(尙州) | 13 | 낙성군파 | 김전(金銓) |
김사원(金士元) | 성종 8 | 정유년(1477)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8 | 상산군파 | 김숙춘(金叔春) |
김광범(金光範) | 성종 14 | 계묘년(1483) 식년시 생원 | 삼가(三嘉) | 16 | 제학공파 | 김정용(金貞用) |
김정미(金貞美) | 성종 17 | 병오년(1486)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6 | 상서공파 | 김경손(金慶孫) |
7)김수돈(金守敦) | 성종 18 | 정미년(1487) 식년시 생원 | 삼가(三嘉) | 17 | 제학공파 | 김광범(金光範) |
김광복(金匡復) | 연산군 7 | 신유년(1501)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6 | 낙성군파 | 김화(金鏵) |
7)김황(金璜) | 연사군 7 | 신유년(1501) 식년시 | 삼가(三嘉) | 17 | 제학공파 | 김처권(金處權) |
김세철(金世徹) | 중종 5 | 경오년(1510) 식년시 생원 | 서울 | 누보(漏譜) | 김태연(金兌淵) | |
김익돈(金益敦) | 중종 8 | 계유년(1513) 식년시 생원 | 삼가(三嘉) | 17 | 제학공파 | 김광범(金光範) |
김응사(金應泗) | 중종 14 | 기묘년(1519)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0 | 상산군파 | 김보(金堡) |
김언필(金彦弼) | 중종 17 | 임오년(1522) 식년시 생원 | 창원(昌原) | 18 | 제학공파 | 김휘(金暉) |
김윤공(金胤恭) | 중종 20 | 을유년(1525) 식년시 생원 | 서울 | 누보(漏譜) | 김옹(金雍) | |
김종보(金宗輔) | 중종 20 | 을유년(1525) 식년시 생원 | 서울 | 17 | 상서공파 | 김정간(金貞幹) |
김겸(金鎌) | 중종 20 | 을유년(1525)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7 | 낙성군파 | 김광률(金匡律) |
8)김병(金柄) | 중종 23 | 무자년(1528)식년시 생원 | 영암(靈巖) | 17 | 통사공파 | 김숙문(金叔文) |
김택(金澤) | 명종 1 | 병오년(1546) 식년시 생원 | 배천(白川) | 16 | 낙성군파 | 김장수(金長琇) |
김덕겸(金德謙) | 선조 12 | 기묘년(1579) 식년시 생원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홍(金洪) |
김덕근(金德謹) | 선조 15 | 임오년(1582) 식년시 생원 | 배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택(金澤) |
9)김극성(金克成) | 선조 | 신묘년(1595) 식년시 생원 | 장성(長城) | 18 | 영중추공파 | 김범(金範) |
김원진(金遠振) | 선조 39 | 병오년(1606)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18 | 낙성군파 | 김정(金頲) |
김상(金尙) | 광해군 1 | 기유년(1609) 식년시 생원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덕겸(金德謙) |
김계(金繼) | 광해군 8 | 병진년(1616) 증광시 생원 | 상주(尙州) | 21 | 내원령파 | 김지대(金之岱) |
김향(金嚮) | 인조 2 | 갑자년(1624) 식년시 생원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덕함(金德諴) |
김초망(金楚望) | 효종 3 | 임진년(1652) 증광시 행원 | 서울 | 22 | 시랑공파 | 김응박(金應璞) |
김석(金碩) | 현종 1 | 경자년(1660) 식년시 생원 | 단성丹城 | 21 | 제학공파 | 김응두(金應斗) |
김두병(金斗炳) | 숙종 1 | 을묘년(1675) 식년시 생원 | 고령(高靈) | 23 | 제학공파 | 김진명(金震鳴) |
김영(金泳) | 숙종 8 | 임술년(1682) 증광시 생원 | 해주(海州) | 20 | 낙성군파 | 김명석(金命錫) |
김숙(金潚) | 순종 10 | 갑자년(1684) 식년시 생원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원석(金元錫) |
김준기(金準紀) | 숙종 13 | 정묘년(1687) 식년시 생원 | 예천(醴泉) | 23 | 내원령파 | 김익려(金益礪) |
김동망(金東望) | 숙종 45 | 기해년(1719) 증광시 생원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영(金泳) |
10)김장백(金章白) | 영조 9 | 계축년(1733) 식년시 생원 | 광주(光州) | 21 | 영중추공파 | 김진화(金振華) |
11)김진명金振鳴 | 영조 44 | 무자년(1768) 식년시 생원 | 영유(永柔) | 23 | 영중추공파 | 김종서(金宗西) |
김재화(金載華) | 영조 50 | 갑오년(1774) 증광시 생원 | 서울 | 23 | 낙성군파 | 김광계(金光啓) |
김제묵金濟默 | 정조 1 | 정유년(1777)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5 | 전서공파 | 김인준金仁俊 |
김익현(金益顯) | 정조 1 | 정유년(1777)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6 | 전서공파 | 김제형(金濟亨) |
12)김상종金尙鍾 | 정조 1 | 정유년(1777) 식년시 생원 | 적성(積城) | 24 | 상산군파 | 김재맹(金載孟) |
김익간(金益幹) | 순조 5 | 을축년(1805)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6 | 전서공파 | 김제명金(濟明) |
김제덕(金濟德) | 순조 14 | 갑술년(1814)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5 | 전서공파 | 김항준(金恒俊) |
김효구(金孝求) | 순조 16 | 병자년(1816) 식년시 생원 | 서울 | 25 | 낙성군파 | 김명종(金命鍾) |
김봉양(金鳳陽) | 순조 16 | 병자년(1816) 식년시 | 철산(鐵山) | 26 | 상산군파 | 김덕태(金德兌) |
김직응(金直應) | 순조 19 | 기묘년(1819)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27 | 전서공파 | 김익거(金益耟) |
김봉구(金鳳求) | 순조 31 | 신묘년(1831) 식년시 생원 | 적성(積城) | 25 | 상산군파 | 김상종(金尙鍾) |
김규석(金奎錫) | 철종 10 | 기미년(1859) 증광시 생원 | 상주(尙州) | 29 | 낙성군파 | 김성대(金聲大) |
김효식(金孝植) | 철종 12 | 신유년(1861) 식년시 생원 | 백천(白川) | 26 | 낙성군파 | 김좌구(金佐求) |
김영식(金永植) | 고종 10 | 계유년(1873) 식년시 생원 | 괴산(槐山) | 26 | 낙성군파 | 김헌구(金憲求) |
김최구(金㝡求) | 고종 13 | 병자년(1876) 식년시 생원 | 백천(白川) | 26 | 낙성군파 | 김석종(金碩鍾) |
김숙원(金肅源) | 고종 16 | 기묘년(1879) 식년시 생원 | 상주(尙州) | 30 | 낙성군파 | 김규석(金奎錫) |
김재현(金在鉉) | 고종 19 | 임오년(1882) 식년시 생원 | 단성(丹城) | 29 | 제학공파 | 김성렬(金聲列) |
13)김낙진金洛鎭 | 고종 31 | 갑오년(1894) 식년시 생원 | 흥덕(興德) | 24 | 영중추공파 | 김식(金埴) |
1) 김복항金復恒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급제 연도는 알 수 없다.
2) 김상직金尙直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기록되어 있고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에도 생원生員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급제 연도는 알 수 없다.
3) 김장춘金長春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급제 연도는 알 수 없다.
4) 김윤복金潤福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급제 연도는 알 수 없다.
5) 김귀지金貴知 :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와 『상산지商山誌』, 『교남지嶠南誌』를 근거하여 기록한다.
6) 김상녕金尙寧 :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와 『교남지嶠南誌』를 근거하여 기록한다.
7) 김수돈金守敦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와 『교남지嶠南誌』를 근거하여 기록한다.
8) 김병金柄 : 『사마방목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에는 본관이 영광인靈光人으로 되어 있다. 이는 거주지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9) 김극성金克成 : 『국조방목國朝榜目』에 전력前歷이 생원生員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와 『장성지長城誌』를 근거하여 기록한다.
10) 김장백金章白 : 『사마방목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에는 본관이 영광인靈光人으로 되어있다. 이는 주거지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11) 김진명金振鳴 : 『사마방목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에는 본관이 함평인咸平人으로 되어있다. 이는 주거지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12) 김상종金尙鍾 :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현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들 김봉구金鳳求의 사마시급제 안을 살펴보면 아버지 김상종金尙鍾의 경력經歷이 생원生員으로 기록되어 있고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에는 급제 연월이 기록 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하여 기록한다.
13) 김낙진金洛鎭 : 초명은 김낙진金洛鎭이고 뒤에 김재종金在鍾으로 개명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연 방 | 거주지 | 세 | 파 속 | 부 휘 |
김종지(金從智) | 성종 14 | 계묘년(1483) 식년시 진사 | 누보(漏譜) | 김상진(金尙珍) | ||
김보(金堡) | 연산군 1 | 을묘년(1495) 증광시 진사 | 상주(尙州) | 19 | 상산군파 | 김언중(金彦中) |
김광률(金匡律) | 연산군 2 | 병진년(1496)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16 | 낙성군파 | 김화(金鏵) |
김옹(金顒) | 연산군 10 | 갑자년(1504)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18 | 내원령파 | 김삼산(金三山) |
김치정(金致精) | 중종 11 | 병자년(1516) 식년시 진사 | 목천(木川) | |||
김언필(金彦弼) | 중종 17 | 임인년(1522) 식년시 진사 | 창원(昌原) | 18 | 제학공파 | 김휘(金暉) |
김윤공(金胤恭) | 중종 20 | 을유년(1525) 식년시 진사 | 서울 | 무보 | 김옹(金雍) | |
김익(金翼) | 중종 29 | 갑오년(1534) 식년시 진사 | 풍기(豊基) | 16 | 낙성군파 | 김경조(金慶祖) |
김범(金範) | 중종 35 | 경자년(1540)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19 | 내원령파 | 김윤검(金允儉) |
김귀영(金貴榮) | 중종 35 | 경자년(1540) 식년시 진사 | 서울 | 20 | 상산군파 | 김응무(金應武) |
김구(金球) | 인조 11 | 계유년(1633) 식년시 진사 | 예천(醴泉) | 김상현(金尙賢) | ||
김하(金㵑) | 명종 4 | 기유년(1549) 식년시 진사 | 삼가(三嘉) | 18 | 제학공파 | 김익돈(金益敦) |
김람(金灠) | 명종 13 | 무오년(1558) 식년시 진사 | 삼가(三嘉) | 18 | 제학공파 | 김익돈(金益敦) |
김준(金浚) | 명종 13 | 무오년(1558) 식년시 진사 | 단성(丹城) | 18 | 제학공파 | 김달생(金達生) |
김철수金鐵壽 | 명종 16 | 신유년(1561) 식년시 진사 | 유신惟新 | 20 | 상서공파 | 김명담金命聃 |
김덕겸(金德謙) | 선조 12 | 기묘년(1579) 식년시 진사 | 배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홍(金洪) |
김홍미(金弘微) | 선조 12 | 기묘년(1579)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20 | 내원령파 | 김범(金範) |
김덕눌(金德訥) | 선조 18 | 을유년(1585) 식년시 진사 | 백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택(金澤) |
김유성(金有聲) | 선조 18 | 을유년(1585)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20 | 내원령파 | 김신(金紳) |
김덕함(金德諴) | 선조 21 | 무자년(1588) 식년시 진사 | 배천(白川) | 17 | 낙성군파 | 김홍(金洪) |
김혜(金寭) | 선조 23 | 경인년(1590) 증광시 | 상주(尙州) | 19 | 낙성군파 | 김수길(金綏吉) |
김안절(金安節) | 선조 38 | 을사년(1605) 증광시 진사 | 상주(尙州) | 19 | 전서군파 | 김종선(金宗善) |
김취권(金就權) | 선조 39 | 병오년(1606)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17 | 낙성군파 | 김치안(金致顔) |
김이일(金以一) | 선조 39 | 병오년(1606) 증광시 | 충주(忠州) | 21 | 상서공파 | 김철수(金鐵壽) |
김개(金闓) | 선조 39 | 병오년(1606) 증광시 진사 | 서울 | 21 | 상산군파 | 김귀영(金貴榮) |
김휼(金霱) | 광해군 4 | 임자년(1612) 증광시 진사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덕근(金德謹) |
김고(金暠) | 광해군 4 | 임자년(1612) 증광시 진사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덕눌(金德訥) |
김설(金卨) | 광해군 7 | 을묘년(1615) 식년시 진사 | 서울 | 18 | 낙성군파 | 김덕함(金德諴) |
김철(金哲) | 광해군 7 | 을묘년(1615) 식년시 진사 | 영변(寧邊) | 누보(漏譜) | 김대충(金大忠) | |
김진추(金晉秋) | 효종 1 | 경인년(1650) 증광시 진사 | 금산(金山) | 19 | 문충공파 | 김용(金容) |
김윤장(金潤璋) | 현종 1 | 경자년(1660) 식년시 진사 | 풍기(豊基) | 20 | 낙성군파 | 김홍준(金弘俊) |
김정식(金貞植) | 헌종 6 | 경자년(1840) 식년시 진사 | 배천(白川) | 26 | 낙성군파 | 김응순(金應順) |
1)김명서(金鳴瑞) | 현종 7 | 병오년(1666) 식년시 진사 | 나주(羅州) | 22 | 영중추공파 | 김현(金鉉) |
김기한(金基漢) | 헌종 10 | 갑진년(1844) 증광시 진사 | 거창(居昌) | 29 | 제학공파 | 김광찬(金光燦) |
김연(金演) | 숙종 1 | 을묘년(1675) 증광시 진사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우석(金禹錫) |
김유(金濡) | 숙종 8 | 임술년(1682) 증광시 진사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우석(金禹錫) |
김완(金浣) | 숙종 9 | 계해년(1683) 증광시 진사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우석(金禹錫) |
김동우(金東佑) | 숙종 31 | 을유년(1705) 식년시 진사 | 결성(結城) | 21 | 낙성군파 | 김취원(金就遠) |
김동익(金東翼) | 숙종 31 | 을유년(1705) 식년시 진사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유(金濡) |
김윤(金潤) | 숙종 39 | 계사년(1713) 증광시 진사 | 서울 | 20 | 낙성군파 | 김우석(金禹錫) |
2)김동정(金東鼎) | 숙종 41 | 을미년(1715) 식년시 진사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완(金浣) |
김동망(金東望) | 숙종 45 | 기해년(1719) 증광시 진사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영(金泳) |
김동현(金東顯) | 경종 1 | 신축년(1721) 식년시 진사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취원(金就遠) |
김동일(金東一) | 영조 1 | 을사년(1725) 증광시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취원(金就遠) |
김광세(金光世) | 영조 2 | 병오년(1726) 식년시 진사 | 서울 | 22 | 낙성군파 | 김동익(金東翼) |
김동엽(金東燁) | 영조 3 | 정미년(1727) 증광시 진사 | 서울 | 21 | 낙성군파 | 김제(金濟) |
김이복(金以復) | 영조 3 | 정미년(1727) 증광시 진사 | 개령(開寧) | 22 | 전서공파 | 김석기(金碩基) |
김광수(金光遂) | 영조 5 | 기유년(1729) 식년시 진사 | 서울 | 22 | 낙성군파 | 김동필(金東弼) |
김광계(金光啓) | 영조 11 | 을묘년(1735) 증광시 진사 | 서울 | 22 | 낙성군파 | 김동익(金東翼) |
김광복(金光福) | 영조 14 | 무오년(1738) 식년시 진사 | 강령(康翎) | 22 | 낙성군파 | 김동우(金東佑) |
김광렬(金光烈) | 영조 20 | 갑자년(1744) 식년시 진사 | 서울 | 22 | 낙성군파 | 김동운(金東運) |
김돈(金墩) | 영조 29 | 계유년(1753) 식년시 진사 | 단성(丹城) | 23 | 제학공파 | 김상화(金尙和) |
3)김문흠(金文欽) | 영조 50 | 갑오년(1774) 식년시 진사 | 포천(抱川) | 24 | 낙성군파 | 김재후(金載厚) |
김우순(金遇順) | 순조 7 | 정묘년(1807) 식년시 진사 | 서울 | 25 | 낙성군파 | 김재후(金載厚) |
김성구(金性求) | 순조 7 | 정묘년(1807) 식년시 진사 | 서울 | 25 | 낙성군파 | 김낙종(金樂鍾) |
김재상(金載尙) | 순조 14 | 갑술년(1814) 식년시 진사 | 전주(全州 | 23 | 낙성군파 | 김광협(金光恊) |
김직응(金直應) | 순조 19 | 기묘년(1819) 식년시 진사 | 상주(尙州) | 27 | 전서공파 | 김익거(金益耟) |
김기원(金起源) | 순조 27 | 정해년(1827) 증광시 진사 | 회인(懷仁) | 26 | 내원령파 | 김구경(金龜慶) |
김이하(金履夏) | 순조 27 | 정해년(1827) 증광시 진사 | 철산(鐵山) | 27 | 상산군파 | 김봉거(金鳳擧) |
김윤수(金倫壽) | 순조 34 | 갑오년(1834)식년시 진사 | 철산(鐵山) | 28 | 상산군파 | 김이순(金履舜) |
김호구(金頀求) | 철종 12 | 신유년(1861) 식년시 진사 | 서울 | 25 | 낙성군파 | 김은종(金殷鍾) |
김면식(金冕植) | 고종 16 | 기묘년(1879) 식년시 진사 | 양지(陽智) | 26 | 낙성군파 | 김용구(金龍求) |
김철구(金哲求) | 고종 17 | 경진년(1880) 증광시 진사 | 과천(果川) | 25 | 낙성군파 | 김응종(金應鍾) |
김기섭(金基燮) | 고종 17 | 경진년(1880) 증광시 진사 | 상주(尙州) | 28 | 낙성군파 | 김정중(金鼎重) |
김기석(金基錫) | 고종 22 | 을유년(1885) 식년시 진사 | 배천(白川) | 28 | 낙성군파 | 김용만(金容萬) |
김창식(金昌植) | 고종 28 | 신묘년(1891) 증광시 진사 | 상주(尙州) | 26 | 문충공파 | 김선구(金善求) |
김봉식(金鳳植) | 고종 28 | 신묘년(1891) 증광시 진사 | 홍주(洪州) | 26 | 영중추공파 | 김인구(金寅求) |
김용건(金容健) | 고종 28 | 신묘년(1891) 증광시 진사 | 춘천(春川) | 27 | 낙성군파 | 김한식(金翰植) |
김두찬(金斗粲) | 고종 28 | 신묘년(1891) 증광시 진사 | 중화(中和 | 김여황(金麗璜) | ||
김용주(金容周) | 고종 31 | 갑오년(1894) 식년시 진사 | 배천(白川) | 27 | 낙성군파 | 김효식(金孝植) |
1) 김명서金鳴瑞 : 『사마방목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에는 본관이 영광인靈光人으로 되어있다. 이는 주거지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2) 김동정金東鼎 : 족보이름은 김동진金東鎭이다.
3) 김문흠金文欽 : 당시 『사마방목司馬榜目』이 전하지 않으므로 『상산김씨세보商山金氏世譜』에 근거하여 기록한다.
시호란 왕 또는 종친, 정2품 이상의 문무관원과, 국가에 특별히 공이 많은 신하들, 또는 학문이 뛰어나 존경을 받은 유학자儒學者들에게 그들이 죽은 뒤 생전의 행적을 칭송하여 국가에서 추증追贈하는 이름을 말한다. 시호를 정하는 법으로 주공시법周公諡法과 춘추시법春秋諡法에 따랐으며 시호에 사용된 글자는 120여자에 달했다. 이는 글자마다 뜻이 들어 있어 생전의 행적에 알맞은 글자를 조합하여 만들고 시호 아래 공公자를 붙여 부른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시 호 | 휘 | 시 대 | 관 집 | 세 | 파 속 | 부 휘 |
정정공(貞靖公) | 김식(金湜) | 고려 | 시중(侍中) | 3 | 상계 | 김도(金韜) |
청평공(淸平公) | 김희일(金希逸) | 고려 | 시중(侍中) | 4 | 상계 | 김식(金湜) |
문충공(文忠公) | 김득배(金得培) | 조선 | 정당문학(政堂文學) | 11 | 문충공파 | 김록(金祿) |
충간공(忠簡公) | 김덕생(金德生 | 조선 | 도승지(都承旨) | 12 | 영중추공파 | 김운보(金云寶) |
장절공(莊節公) | 김사우(金師禹) | 조선 | 병조판서(兵曹判書) | 13 | 상산군파 | 김흡(金洽) |
공숙공(恭肅公) | 김양경(金良璥) | 조선 | 이조판서(吏曹判書) | 누보(漏譜) | 김효민(金孝敏) | |
충정공(忠貞公) | 김덕함(金德諴) | 조선 |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 17 | 낙성군파 | 김홍(金洪) |
충민공(忠敏公) | 김요경(金堯卿 | 조선 | 증 병조판서(贈兵曹判書) | 19 | 상서공파 | 김효서(金孝恕) |
충정공(忠靖公) | 김순경(金舜卿 | 조선 | 증 형조판서(贈刑曹判書) | 19 | 상서공파 | 김효서(金孝恕) |
정목공(貞穆公) | 김우석(金禹錫 | 조선 | 형조판서(刑曹判書) | 19 | 낙성군파 | 김설(金卨) |
충혜공(忠惠公) | 김동필(金東弼 | 조선 | 이조판서(吏曹判書) | 21 | 낙성군파 | 김유(金濡) |
나라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국왕國王으로부터 공신이란 훈호勳號를 내리거나 또는 ○○군君으로 봉군封君을 하사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군 호 | 휘 | 시 대 | 관 집 | 세 | 파 속 | 부 휘 |
상산군商山君 | 김희일金希逸 | 고려 | 시중(侍中) | 4 | 상계 | 김식(金湜) |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 | 김비궁(金匪躬) | 고려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 5 | 상계 | 김희일(金希逸) |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 | 김려(金侶) | 고려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 7 | 상계 | 김치원(金致遠) |
오성군(筽城君) | 김충(金忠) | 고려 | 중랑장(中郞章) | 8 | 상계 | 김려(金侶) |
상락군(上洛君) | 김일(金鎰) | 고려 | 찬성사(贊成事) | 9 | 상계 | 김지연(金之衍) |
상성군(商城君) | 김록(金祿) | 고려 | 시중(侍中) | 10 | 상계 | 김일(金鎰) |
봉덕군(奉德君) | 김계근(金戒根) | 고려 | 11 | 상계 | 김축(金築) | |
상락군(上洛君) | 김득배(金得培) | 고려 | 정당문학(政堂文學) | 11 | 문충공파 | 김록(金祿) |
상산군(商山君) | 김득제(金得齊) | 고려 | 삼사우사(三司右使) | 11 | 상산군파 | 김록(金祿) |
낙성군(洛城君) | 김선치(金先致) | 고려 | 계림 부윤(鷄林府尹) | 11 | 낙성군파 | 김록(金祿) |
상산군(商山君) | 김계(金氵戒) | 조선 | 증 좌찬성(贈左贊成) | 15 | 전서공파 | 김수말(金守末) |
상락군(上洛君) | 김광준(金光準 | 조선 | 좌찬성(贊成事) | 16 | 전서공파 | 김계(金氵戒)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귀영(金貴榮) | 조선 | 죄의정(左議政) | 20 | 상산군파 | 김응무(金應武) |
낙천군(洛川君) | 김개(金闓) | 조선 | 한성 부윤(漢城府尹) | 21 | 상산군파 | 김귀영(金貴榮) |
상원군(商原君) | 김사(金泗) | 조선 | 증 호조 판서(贈戶曹判書) | 23 | 상산군파 | 김수창(金壽昌) |
상성군(商城君) | 김석진(金碩振) | 조선 | 가선대부(嘉善大夫) | 24 | 상산군파 | 김사(金泗) |
① 시중侍中에 오르신 선조(4명)
고려시대 종1품 수상직으로 개설중서문하성의 최고 관직이다. 재상직의 통칭이며, 고려 후기에는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이라고도 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식(金湜) | 시중 | 3 | 상계 | ||
김희일(金希逸) | 시중 | 4 | 상계 | ||
김문궁(金文躬) | 시중 | 4 | 상계 | ||
김치원(金致遠) | 시중 | 6 | 상계 | 문하판사(門下判事) |
② 아상亞相 : 찬성사(贊成事)에 오르신 선조(4명)
고려시대 문하시중門下侍中의 바로 아래 관직으로서 달리 찬성사贊成事이라고 하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도첨의찬성사·문하찬성사의 약칭이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비궁(金匪躬) | 문하찬성사 | 종종 | 5 | 상계 | |
김경(金鏡) | 평장사 | 6 | 상계 | ||
김일(金鎰) | 찬성사 | 원종 | 9 | 상계 | |
김정신(金鼎臣) | 찬성사 | 우왕 | 12 | 내원령파 |
③ 대제학大提學에 오르신 선조님(2명)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치화(金致和) | 예문관 대제학 | 6 | 상계 | 정당문학(政堂文學) | |
김축(金築) | 예문관 대제학 | 충숙왕 | 7 | 상계 |
④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오르신 선조님(2명)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종2품 관직. 문종文宗이 정원과 품계를 정하여 정원은 1인으로 하고 품계는 종2품으로 하였다. 1275년(충렬왕 1)에 몽고의 내정간섭을 받게 되어 관제의 격하개편이 이루어질 때 참문학사參文學事로 고쳐 불렸다. 충선왕이 파하였으나 곧 복구되어 조선 초기까지 명칭과 기능이 이어졌다. 중서문하성의 재신宰臣으로서 국정을 논의하는 일을 맡았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치화(金致和) | 정당문학 | 6 | 상계 | 예문관 대제학 | |
김득배(金得培) | 정당문학 | 공민왕 | 11 | 문충공파 |
① 상신相臣 : 정승(政丞)에 오르신 선조님(1명)
상신相臣은 조선시대의 최고관직으로서 1400년(정종 2)에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議政府로 개편하고 영의정領議政·좌의정左議政·우의정右議政, 각1명씩을 두었는데 이들 3의정을 황각黃閣 또는 태사台司라고도 일컬었다. 이들은 국가의 최고 결의권자로서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국정國政을 감독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관 직 | 휘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좌의정(左議政) | 김귀영(金貴榮) | 선조 | 20 | 상산군파 |
② 이상貳相 : 찬성(贊成)에 오르신 선조님(1명)
조선시대 최고 의정기관인 의정부의 종1품 좌찬성左贊成·우찬성右贊成을 합쳐 부르던 명칭으로 달리 찬성贊成 또는 이재二宰라고도 한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관 직 | 휘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광준(金光準) | 좌찬성 | 명종 | 16 | 전서공파 |
③ 대제학大提學 : 문형(文衡)에 오르신 선조님(1명)
대제학은 달리 문형文衡이라고도 하며 홍문관弘文館·집현전集賢殿·예문관藝文館 3관의 최고 책임자로서 관·학계를 공식적으로 대표하는 직임職任이므로 더할 수 없는 영예로 여겨졌으며, 품계는 판서判書급인 정2품에 해당하였지만 명예는 삼정승과 6판서보다 훨씬 높게 대우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관 직 | 휘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귀영(金貴榮) | 선조 | 20 | 상산군파 | 김응무(金應武) | 좌의정(左議政) |
④ 판서判書에 오르신 선조님(8명)
조선시대 6조의 장관으로 정2품직이며 정경正卿이라고도 했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흡(金洽) | 형조 판서 | 세종 | 12 | 상산군파 | |
김사우(金師禹) | 병조 판서 | 세종 | 13 | 상산군파 | 단종(端宗)의 장인 |
김양경(金良璥) | 공조 판서 | 성종 | 누보(漏譜) | ||
김광준(金光準) | 이조·병조 판서 | 명종 | 16 | 전서공파 | 좌찬성 |
김귀영(金貴榮) | 육조 판서 | 선조 | 19 | 상산군파 | 좌의정 |
김우석(金禹錫) | 형조 판서 | 숙종 | 19 | 낙성군파 | |
김연(金演) | 호조·예조·형조 판서 | 숙종 | 20 | 낙성군파 | |
김동필(金東弼) | 육조 판서 | 영조 | 21 | 낙성군파 |
⑥ 관찰사觀察使에 오르신 선조님(8명)
조선시대 각 도에 파견되어 지방 통치의 책임을 맡았던 최고의 지방 장관으로 감사監司·도백道伯·방백方伯·외헌外憲·도선생道先生·영문선생營門先生 등으로도 불리었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관도(金觀道) | 충청도 관찰사 | 태종 | 12 | 전서공파 | 판통례사 |
김양경(金良璥) | 전라·경기·강원·충청도 관찰사 | 성종 | 누보漏譜 | 공조 판서 | |
김광준(金光準) | 강원도 관찰사 | 중종 | 16 | 전서공파 | 좌찬성 |
김상(金尙) | 강원·충청도 관찰사 | 인조 | 18 | 낙성군파 | |
김귀영(金貴榮) | 경상도 관찰사 | 명종 | 19 | 상산군파 | 좌의정 |
김우석(金禹錫) | 강원·화해·경기도 관찰사 | 숙종 | 19 | 낙성군파 | 형조 판서 |
김연(金演) | 충청·경상·함경·경기·평안·강원도 관찰사 |
숙종 | 20 | 낙성군파 | 호조·예조·형조 판서 |
김동필(金東弼) | 경상도 관찰사 | 영조 | 21 | 낙성군파 | 육조 판서 |
청백리는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근검·도덕·경효·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으로,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의 2품 이상 당상관과 사헌부司憲府·사간원司諫院의 수장이 천거하고 임금의 재가를 얻어서 의정부에서 뽑았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세 | 파 속 | 비 고 |
김덕함(金德諴) | 조선 | 17 | 낙성군파 | 대사헌(大司憲) |
조선시대 문신 중 특히 문학에 뛰어난 사람에게 휴가를 주어 오로지 학업을 닦게 하던 서재書齋이면서 또한 관서이다.
1426년(세종 8)에 처음으로 사가독서賜暇讀書 하게 하는 제도를 두었으며, 세조世祖 때 집현전의 혁파와 함께 폐지했던 것을 성종成宗 때 상설기구로 복구復舊하여, 1491년(성종 22) 용산龍山에 있는 장의사藏義寺를 수리하여 처음으로 독서당讀書堂을 두었다. 독서당에서 공부하는 사람을 호당湖堂이라 칭하고, 정한 인원은 없었으며, 독서당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선발 규정을 엄격히 하여 대제학大提學과 예조 판서禮曹判書가 선발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선발 대제학 | 세 | 파 속 | 비 고 |
김귀영(金貴榮) | 1550년(명종 5) | 신광한(申光漢) | 20 | 상산군파 | 좌의정(左議政) |
‘징사(徵士)’란 조정(朝廷)에서 부른 학덕(學德)과 인품 그리고 6조를 모두 관장할 수 있는 선비를 말한다. 선비로서 큰 영예이며 사림의 사표(師表)라 할 수 있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세 | 휘 | 호 | 파 속 | 시 대 | 관 직 |
19 | 범(範) | 후계(后溪) | 내원령파(內苑令派) | 명종(明宗) | 옥과 현감(玉果縣監) |
명종 21년 5월 23일 전교하였다.
“내 일찍이 종친이 못 배운 것을 한탄해 왔기 때문에 어제 사부를 가려서 가르치도록 하라는 명을 내렸는데 다시 깊이 생각해 보니 이제 새로운 예를 만드는 것이 옳지 못하다. 다만 6조(條)를 구비한 사람을 해조에서 가려 재량대로 쓰도록 하여 인재가 흥기(興起)되도록 권장하라.”하여 사신들은 논하여 “1조만 구비한 사람을 찾아도 해당되는 사람이 적은데 하물며 6조를 구비한 사람이 있겠는가.” 이러한 조건으로 온 나라에서 구하였으나 역시 많이 얻지 못하고, 이 6인“조식(曺植)·이항(李恒)·성운(成運)·남언경(南彦經)·한수(韓脩)·김범(金範)”을 구하여 이 선발에 뽑히었다.
[傳曰 予嘗歎宗親之不學, 故昨下擇師傅敎誨之言 而更深思之 今不可創新例 但六條俱備之人 令該曹選擇 而量用之 使之勸勵興起可也【史臣曰 以一條求之人猶當之者鮮矣 況六條俱備者乎 以此求諸天下 亦不多得得 此六人【曺植 李恒 成運 南彦經 韓脩 金範】 而應是選 果爲能盡六條者乎】] 출처: 『명종실록(明宗實錄)』
공의 휘는 범(範, 1512(중종 7)∼1566(명종 21))이다. 통찬(通贊) 김극충(金克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 김례강(金禮康)이고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김윤검(金允儉)이며 어머니는 상주 김씨(尙州金氏)로 종사랑 김증(金增)의 딸이다. 상주 도곡동(道谷洞)에서 태어났다. 자는 덕용(德容)이고 호는 후계(后溪)이다.
공은 어려서부터 재능과 문재(文才)가 뛰어났다. 12세 때 관내에서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전송하는 연회가 있었는데 그곳에 놀러 갔다가 부마(駙馬)가 시를 지어보라 해서 “백성을 사랑하는 목민관은 인택을 베풀고[民牧伯垂仁澤] 젊은 재상의 기상 가을하늘을 가로질렀네[少年賢相氣撗秋]”라고 시를 지으니 자리에 모인 이들이 모두 놀라 하였다.
1539년(중종 34)에 연이어 향시(鄕試)에 합격하고, 1540년(중종 35)에 진사과에 장원(壯元)을 차지하였다. 당시 시험관인 김안국(金安國)이 공의 시부(詩賦)와 사람됨을 보고 ‘도학과 문장으로 한 시대를 저울질할 것이다[以道學文章 權衡一世]’고 극찬하여 명성이 더욱 알려졌다. 1553년(명종 8) 아버지를 여의고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자신이 힘써야 할 곳이 있음을 알고 몸을 삼가고 행실을 닦았으며 가숙(家塾)에서 후학을 길렀다.
1566년(명종 21) 봄에 천거(薦擧)로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해 명종(明宗)은 경명(經明)·행수(行修)·순정(純正)·근근(勤謹)·노성(老成)·온화(溫和)의 여섯 가지를 모두 갖춘 현사(賢士)를 구하여 천거토록 하였는데,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대곡(大谷) 성운(成運), 남명(南冥) 조식(曺植), 갈천 임훈(林薰), 석봉(石峰) 한수(韓脩),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과 함께 징사(徵士)에 뽑히게 되었다. 얼마 뒤 조정에서 공을 불렀으나 상소를 올려 사양하자, 명종이 다시 관등(官等)을 뛰어넘어 옥과 현감(玉果縣監)에 제수하고, 세 차례에 걸쳐 교서(敎書)를 내리고 감사(監司)에게 명하여 약물을 지급하게 하였다. 마침내 왕명을 저버릴 수 없어 상경(上京)하여 남명(南冥) 조식(曹植)과 함께 명종을 알현하고 역대의 치란(治亂)과 학문하는 방법 및 치치(致治)의 도(道)에 대해 말하였는데 명종이 모두 가납하였다. 그 뒤 옥과현(玉果縣)에 부임하여 유학(儒學)을 숭상하고 예속(禮俗)을 흥기시키니 몇 달이 지나지 않아 덕화(德化)가 크게 행해졌으나 이해 겨울 임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부음(訃音)이 조정(朝廷)에 알려지자 명종은 슬퍼하며 제문(祭文)을 내리게 하고 승정원(承政院)에 일러 “경학(經學)에 밝고 행실을 닦은[經明行修] 옥과 현감(玉果縣監) 김범이 죽었다니 내 몹시도 슬프고 측은하게 여기니 그에게 초자(超資)하여 벼슬을 추증(追贈)하고 특별히 부제(賻祭)를 내리라.”하고 또 도감사(道監司)에게 명하여 상사(喪事)를 돕게 하였다.
공은 천성이 인정이 많고 고상하였으며 집안에서 효제(孝悌)하는 것으로부터 임금을 섬기는 데 이르기까지 오로지 수신근행(守身謹行)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아 확고히 지키고 실천한 선비였다. 이후 정려(旌閭)와 불천위(不遷位)가 내려졌고 사림(士林)들이 공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옥성서원(玉城書院)에 배향하여 향사(享祀)하고 있다. 저서로 『후계선생문집(后溪先生文集)』이 있다.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이다. 나이가 70이 되면 기耆, 80이 되면 노老라고 하였다. 태조가 60세인 1394년(태조 3)에 친히 기영회耆英會에 들어갔다. 태종 초에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라 하였고, 1428년(세종 10)에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로 개칭되고 간략히 기로소라고 불렀다. 국초에 문과 출신의 문신文臣인 정2품의 실직에 있는 자로서 나이가 70세 이상인 자는 기로소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하고 이들을 기로소당상耆老所堂上이라 하였고, 인원의 제한은 없었다. 음직蔭職과 무관武官은 참여하지 못 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귀영(金貴榮) | 선조 | 좌의정(左議政) | 20 | 상산군파 | |
김연(金演) | 숙종 | 예조 판서(禮曹判書) | 20 | 낙성군파 | |
김건식(金健植) | 광무 | 비서 원승(秘書院丞) | 26 | 상산군파 |
조선시대에는 배향공신과 훈봉공신勳封功臣으로 나뉘고, 훈봉공신에는 정공신正功臣과 원종공신原從功臣이 있었다. 정공신은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정난靖難·좌익佐翼·적개敵愾 등의 명칭이 있었는데, 공의 등급에 따라 1등 공신·2등 공신·3등 공신이 있었다. 원종공신은 공이 정공신에 미치지 못하는 공을 세운 사람에게 수여되었다. 공신에게는 관등과 훈계·관직·토지·곡식·노비·검과 칼·녹권錄卷·금대金帶·은대銀帶·옷감·관구冠具 등의 각종 부상이 주어졌다. 또한 배향, 공신당功臣堂의 설립, 입학의 특전, 사성賜姓:나라에서 姓을 내려 줌, 면천免賤 등 각종의 혜택이 주어졌다.
① 위사공신衛社功臣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 대윤大尹 일파를 몰아내는 데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 1546(명종 1)년에 보국 공신保翼功臣이라는 칭호를 내렸으나 뒤에 위사공신衛社功臣으로 이름이 바꾸었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군 호 | 등 위 | 세 | 파 속 | 비 고 |
김광준(金光準) | 좌찬성(左贊成) | 상락군(上洛君) | 2등 | 16 | 전서공파 |
② 평난공신平難功臣 1589년(선조 22)
1589년(선조 22)에 발생한 정여립鄭汝立의 난(기축옥사라고도 함)을 평정한 공로자에게 내린 훈호勳號이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군 호 | 등 위 | 세 | 파 속 | 비 고 |
김귀영(金貴榮) | 좌의정(左議政)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2등 | 20 | 상산군파 |
조선의 건국으로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서 들어가 이성계가 세운 조선에 충성을 하지 않고 절개를 지킨 이들을 두문동 은사라 한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후(金後) |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 13 | 제학공파 | 고려팔청(高麗八淸)의 한분 |
1453년(단종 1)부터 1456년(세조 2)에 걸쳐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을 축출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절개 있는 신하들에게 화를 입힌 사건. 열두 살의 어린나이로 단종이 즉위하였지만 숙부인 수양대군은 왕위찬탈의 야심을 품고 김종서金宗瑞, 황보인皇甫仁 등의 중신을 살해 하는 한편 친동생인 안평대군마저 사약을 내려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여 재위 2년 만에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양위하게 되었다. 이에 분개를 느끼고 ‘하나의 태양 아래서 두 명의 왕을 섬길 수 없다’는 집현전集賢殿 학자들에 의해 단종 복위운동이 일어났다. 세조는 이를 미리 알고 이에 관련된 학자들을 참형하고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시켜 강원도 영월로 귀양을 보내고 뒤에 사약을 내려 죽게 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맹달(金孟達) |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 13 | 상산군파 | 교림도(喬林島)로 귀양감 |
김극충(金克忠) | 통례문 통례(通禮門通禮) | 16 | 내원령파 | 세조가 즉위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킴. |
김우생(金佑生) |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 12 | 영중추공파 | 단종이 사약을 받고 죽자 스스로 음독 자결함. |
1519년(중종 14) 남곤南袞·심정沈貞 등의 훈구파의 재상들이 당시 새로운 혁신을 감행한 젊은 선비들에게 화를 입힌 사건이다.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中宗은 정치를 개혁하고 패기에 넘치는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를 등용하여 성리학을 크게 장려하였다. 이에 조광조 등은 중종의 신임을 받아 왕도정치를 실행하고 자격이 없는 공신들의 공신호功臣號를 박탈하는 등 과격한 혁신정책을 썼다 여기에 불안을 느낀 심정, 남곤, 홍경주 등이 갖은 모략과 음모로 조광조 일파가 민중의 지지를 받아 반역을 꾀한다고 조장하여 30대 젊은 선비들이 죽임을 당하고 이를 옹호한 대신들이 파면되거나 죽임을 당하였다. 이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을 기묘명현己卯名賢이라 한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태암(金泰巖) | 연원 찰방(連原察訪) | 12 | 상서공파 | 김식(金湜)·조광조(趙光祖)와 교류 |
김광복(金匡復) | 도사(都事) | 16 | 낙성군파 | 조광조(趙光祖0의 문인 |
김윤종(金胤宗) | 진사(進士) | 17 | 낙성군파 | 김식(金湜)의 문인 |
김옹(金顒) |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 18 | 내원령파 | 김식(金湜)·조광조(趙光祖)와 교류 |
547년(명종 2)에 을사사화의 여파로 일어난 사건이며 일명 벽서의 옥壁書獄이라 한다. 전라도 양재역 벽에 ‘여왕이 집정하고 간신 이기李芑 등이 권세를 농락하여 나라가 망하려 하니 이를 보고만 있을 것인가’ 라는 낙서가 발견되어 정원을 잡고 있던 이기李芑·정명순鄭明順 등이 을사사화 때 제거하지 못한 반대세력들을 고발하여 수백 명의 연루자가 화를 입은 사건이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상(金尙) | 강원 감사(江原監司) | 18 | 낙성군파 |
1613년(광해군 5)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몰아내기 위하여 대북파大北派인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 등이 일으킨 사건이다. 경상도 문경새재에서 강도사건이 일어났는데 당시 권세를 잡고 있던 이이첨 등은 이 사건이 김제남金悌男. 영창대군의 외숙 등과 관계가 있다고 고발하여 영창대군이 서민으로 폐봉廢封되어 강화도에서 죽음을 당하였으며 김제남에게 는 사약이 내려지고 이 사건에 연루된 이들에게 화를 입혔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청백리(淸白理) |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친 왜군의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부 휘 | 활동지역 | 비 고 |
김준방(金俊邦) | 거제 현령(巨濟縣令) | 16 | 낙성군파 | 김학(金鶴) | 거제 | 노량해전에서 전사 |
김덕함(金德諴) |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 17 | 낙성군파 | 김홍(金洪) | 연안 | 의병장. 선무원종공신 2등 |
김대룡(金大龍0 | 재랑(齋郞) | 17 | 낙성군파 | 김천서(金千瑞 | 선무원종공신 3등 | |
김형진(金亨進 | 증 지평(贈持平 | 17 | 영중추공파 | 김대류(金大鏐 | 금산 | 순절 |
김재택(金載澤 | 비변랑(備邊郞 | 17 | 영중추공파 | 김충검(金忠儉 | 수성 | |
김재지(金載池 | 유학(幼學 | 17 | 영중추공파 | 김충검(金忠儉 | 수성 | 김재택(金載澤의 아우 |
김몽희(金夢禧 | 밀양 부사(密陽府使 | 17 | 영중추공파 | 김걸(金璨 | 청주, 금산 | 순절 |
김몽서(金夢瑞) | 병조 정랑(兵曹正郞) | 17 | 영중추공파 | 김걸(金璨) | 진주 | 김몽희(金夢禧의 아우. 순절) |
김춘수(金春壽) | 직장(直長) | 17 | 영중추공파 | 김근(金瑾) | 수성, 금강 | |
김남수(金楠壽) | 좌영호(左領護) | 17 | 영중추공파 | 김근(金瑾) | 수성 | 김춘수(金春壽)의 아우. 순절 |
김일(金鎰) | 증 사헌부 감찰(贈司憲府監察) | 18 | 전서공파 | 김희경(金希慶) | 상주 | 순절, 충의단(忠義壇), 충렬사(忠烈祠) 배향 |
김린선(金麟善) | 금천 현감(衿川縣監) | 18 | 전서공파 | 김발(金潑) | 서산 | |
김굉(金宏) | 사척도 찰방(沙尺道察訪) | 18 | 문충공파 | 김정필(金丁畢) | 금산(金山) | |
김원진(金遠振) | 생원(生員) | 18 | 낙성군파 | 김정(金頲) | 상주 | 창의군(倡義軍), 선무원종공신 |
김원성(金遠聲) | 장사랑(將仕郞) | 18 | 낙성군파 | 김정(金頲) | 상주 | 김지연(金遠振)의 아우 |
김득사(金得泗) | 유학(幼學)/td> | 18 | 영중추공파 | 김송수(金松壽) | 수성 | 김남수(金楠壽)의 조카 |
김약려(金躍礪) | 충의위(忠義衛) | 18 | 영중추공파 | 김남수(金楠壽) | 공주, 금강 | 김남수(金楠壽)의 아들 |
김정욱(金廷彧) |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 18 | 영중추공파 | 김균(金筠) | 수성 | 수성사(守城祠) 배향 |
김정식(金廷式) | 첨지(僉知) | 18 | 영중추공파 | 김균(金筠) | 수성 | 김정욱(金廷彧)의 아우, 수성사(守城祠) 배향 |
김순경(金舜卿) | 증 형조 판서(贈刑曹判書) | 19 | 상서공파 | 김효서(金孝恕) | 연풍 | 선무원종공신 2등 |
김우경(金禹卿) |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 | 19 | 상서공파 | 김효서(金孝恕) | 연풍 | 김순경(金舜卿)의 아우 |
김여려(金汝礪) | 훈련원 첨정(訓練院僉正) | 19 | 상서공파 | 김황(金璜) | 상주 | |
김교(金㝯) | 유학(幼學) | 19 | 낙성군파 | 김수길(金綏吉) | 상주 | |
김혜(金寭) | 풍기군수(豊基郡守) | 19 | 낙성군파 | 김수길(金綏吉) | 상주 | 상의군, 선무원종공신, 구호사(龜湖祠) 배향 |
김광업(金匡業) | 부호군(副護軍) | 19 | 낙성군파 | 김이례(金以禮) | 정주 | 선무원종공신 |
김세인(金世仁) | 훈련원 주부(訓練院主簿) | 19 | 전서공파 | 김팔정(金八定 | 상주 | 초명 김세빈(金世賓), 정기룡(鄭起龍)막하, 선무원종3등 공신 |
김보(金堡) | 생원(生員)/td> | 19 | 상산군파 | 김언중(金彦中) | 상주 | 김각(金覺) 막하 |
김경인(金景訒) |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 | 19 | 제학공파 | 김준(金俊) | 곽재우 휘하 | |
김경근(金景謹) | 증 사헌부 감찰(贈司憲府監察) | 19 | 제학공파 | 김준(金俊) | 합천 | 순절 |
김준민(金俊民) | 증 병조 판서(贈兵曹判書) | 19 | 제학공파 | 김번(金藩) | 진주 | 순절, 선무원종1등 공신 |
김신(金紳 | 부장(部長 | 19 | 내원령파 | 김윤호(金允浩 | 상주 | 순절 |
김귀영(金貴榮) | 좌의정(左議政) | 20 | 상산군파 | 김응무(金應武) | 임해군(臨海君) 호종 | |
김응호(金應虎) | 훈련원 첨정(訓練院僉正) | 20 | 제학공파 | 김경눌(金景訥) | 합천 | 정유재란 창의 |
김봉승(金鳳承) | 통덕랑(通德郞) | 20 | 제학공파 | 김준민(金俊民) | 진주 | 김준민(金俊民)의 아들 |
김운(金雲) | 행 장례원 사평(行掌隷院司評) | 20 | 내원령파 | 김응정(金應禎) | 임해군 호종 | |
김홍민(金弘敏) | 증 도승지(贈都承旨) | 20 | 내원령파 | 김범(金範) | 상주 | 충보군 의병대장, 선무원종2등 공신 |
김홍미(金弘微) | 대사간(大司諫) | 20 | 내원령파 | 김범(金範) | 상주 | 김홍민(金弘敏)의 아우 |
김봉(金鋒) | 참봉(參奉) | 20 | 내원령파 | 김숙종(金淑淙) | 현풍 | 순절 |
김적(金鏑) | 통덕랑(通德郞) | 20 | 내원령파 | 김숙종(金淑淙) | 현풍 | 김봉(金鋒)의 아우, 순절 |
김용(金鎔) | 통덕랑(通德郞) | 20 | 내원령파 | 김숙종(金淑淙) | 현풍 | 김봉(金鋒)의 아우, 순절 |
김일(金鎰) | 통덕랑(通德郞) | 20 | 내원령파 | 김숙종(金淑淙) | 현풍 | 김봉(金鋒)의 아우, 순절 |
김개(金鎧) | 통덕랑(通德郞) | 20 | 내원령파 | 김숙종(金淑淙) | 현풍 | 김봉(金鋒)의 아우, 순절 |
김유성(金有聲) | 증 호조 좌랑(贈戶曹佐郞) | 20 | 내원령파 | 김신(金紳) | 상주 | 순절, 자녀를 두지 못했다. |
김지연(金之衍) |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 20 | 내원령파 | 김충(金冲) | 상주 | 상의군(尙義軍) |
김개(金闓) |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 21 | 상산군파 | 김귀영(金貴榮) | 서울 | 임해군 호종 |
김수(金壽) | 통정대부(通政大夫) | 21 | 내원령파 | 김운(金雲) | 상주 | 충보군 |
김홍제(金弘濟) | 지릉참봉(智陵參奉) | 21 | 내원령파 | 김봉(金鋒) | 현풍 | 순절 |
김인제(金仁濟) |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 21 | 내원령파 | 김적(金鏑) | 현풍 | |
김명윤(金命胤) | 동부승지 증 병조 판서(同副承旨贈兵曹判書) | 21 | 제학공파 | 김한(金漢) | 선무원종1등 공신 | |
김응추(金應秋) | 군자감 정(軍資監正) | 21 | 제학공파 | 김삼우(金三佑) | 진주 | 곽재우(郭再祐) 막하, 선무원종2등 공신 |
김홍면(金弘勉) | 훈련원 부(訓練院副正) | 21 | 제학공파 | 김수용(金壽鎔) | 진주 | 곽재우(郭再祐) 막하, 선무원종공신 2등 |
김형(金珩) | 개령 현감(開寧縣監) | 21 | 내원령파 | 김홍미(金弘微) | 상주 | 충보군 |
김정(金珽) | 진사(進士) | 21 | 내원령파 | 김련강(金連綱) | 상주 | 충의록 |
정묘호란은 1627년(인조 5)에 후금이 우리나라에 침입했던 전란이다. 반란에 실패한 이괄의 잔당이 후금으로 도망하여, 광해군의 폐위와 인조 즉위의 부당성을 호소하여 조선 침입의 결의를 촉진시켰다. 이에 후금의 태종이 광해군을 위하여 보복한다는 구실을 세우고 침입하였다. 병자호란은 1636년(인조 14) 청이 정묘호란 이후의 명을 정벌하기 위해서 군량과 병선兵船의 징발을 요구하고 형제관계를 군신관계로 바꾸도록 강요하자, 이에 격분한 조선정부가 임전태세를 강화함으로써 일어난 전쟁이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부 휘 | 비 고 |
김시길(金時吉)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18 | 전서공파 | 김하(金厦) | 군량조달 |
김휼(金霱) | 이조 참의(吏曹參議) | 18 | 낙성군파 | 김덕근(金德謹) | 남한산성으로 인조호종 |
김약려(金躍麗) | 충의위(忠義衛) | 18 | 영중추파 | 김남수(金楠壽) | |
김요경(金堯卿) | 좌영천총 증 병조 판서(左營千摠贈兵曹判書) | 19 | 상서공파 | 김효서(金孝恕) | 심하전투에서 순절 |
김도(金濤) | 의흥 현감(義興縣監) | 19 | 전서공파 | 김기선(金麒善) | 왕세자 보필 |
김진려(金晉勵) | 신창 현감 증 공조참의(新昌縣監贈工曹參議) | 19 | 문충공파 | 김용(金容) | |
김상경(金尙敬) | 유학(幼學) | 19 | 영중추공파 | 김정욱(金廷彧) | |
김창후(金昌後) | 유학(幼學) | 19 | 전서공파 | 김안절(金安節) | |
김성익(金聲釴) | 훈련원 주부(訓練院主簿) | 20 | 상서공파 | 김우경(金禹卿) | 김요경(金堯卿)의 조카, 심하전투에서 순절 |
김응규(金應奎) | 유학(幼學) | 20 | 제학공파 | 김경인(金景訒) | 『변무유소卞誣儒䖻』동참 |
김상빈(金相彬) | 유학(幼學) | 21 | 상산군파 | 김주(金鑄) | |
김인제(金仁濟) |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 | 21 | 내원령파 | 김적(金鏑) | 강화도에서 순절 |
김기상(金起祥) | 훈련원 봉사(訓練院奉事) | 22 | 상산군파 | 김범룡(金範龍) | |
김승남(金勝南) | 유학(幼學) | 22 | 상산군파 | 김여린(金汝麟) | 운암전투 |
김신남(金信南) | 수문장(守門將) | 22 | 상산군파 | 김여린(金汝麟) | 운암전투 |
김윤남(金潤南) | 참봉(參奉) | 22 | 상산군파 | 김여린(金汝麟) | 운암전투 |
김태방(金泰邦) | 증 대구부사(贈大邱府使) | 22 | 상산군파 | 김곤(金袞) | 순절 |
김몽룡(金夢龍) |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 | 23 | 상산군파 | 김응기(金應器) | 운암전투 |
김애룡(金愛龍) | 참봉(參奉) | 23 | 상산군파 | 김응기(金應器) | 운암전투 |
김사룡(金士龍) | 참봉(參奉) | 23 | 상산군파 | 김응기(金應器) | 운암전투 |
김처룡(金處龍) | 참봉(參奉) | 23 | 상산군파 | 김윤기(金潤器) | 운암전투 |
김여기(金礪器) | 벽동 군수 증 호조 판서(碧潼郡守贈戶曹判書) | 22 | 상산군파 | 김귀경(金貴慶) | 순절 |
김호철(金好哲) |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 22 | 내원령파 | 김계(金繼) | |
김영망(金英望) | 황주목사(黃州牧使) | 23 | 제학공파 | 김용(金容) |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 |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관 직 | 세 | 파 속 | 부 휘 | 거주지 | 비 고 |
김수준(金守濬) | 참봉(參奉) | 14 | 영중추공파 | 김신도(金信度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익정(金益精) | 순릉 참봉 (順陵參奉) |
15 | 영중추공파 | 김수준(金守濬)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충걸(金忠傑) | 참봉(參奉) | 16 | 영중추공파 | 김익정(金益精)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여성(金礪成) | 군자감 주부 (軍資監主簿) |
17 | 상서공파 | 김승평(金昇平) | 괴산(槐山)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정려 |
김수길(金綏吉) | 증 공조 좌랑 (贈工曹佐郞) |
18 | 낙성군파 | 김겸(金鎌)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정려 |
김휼(金霱)의 배위 정부인(貞夫人) 진주강씨(晉州姜氏) | 18 | 낙성군파 | 서울 | 병자호란 때 강도(江都)에서 순절 | ||
김새(金璽) | 용인 현령 (龍仁縣令) |
18 | 영중추공파 | 김창손(金昌孫) | 영유(永柔) | 『읍지』 |
김혁(金赫) | 통덕랑(通德郞) | 18 | 영중추공파 | 김경신(金敬信) | 나주(羅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의사공(義士公) 의 따님 | 19 | 전서공파 | 김일(金鎰) | 상주(尙州)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상산지商山誌』, 정려 | |
김안절(金安節) | 진사(進士) | 19 | 전서공파 | 김종선(金宗善) | 상주(尙州) | 복호(復戶) |
김진태(金晉兌) | 계공랑(啓功郞) | 19 | 문충공파 | 김굉(金宏) | 금산(金山) | 포상 |
김귀영(金貴榮)의 배위 정경부인(貞敬夫人) 함안이씨(咸安李氏) | 19 | 상산군파 | 열행,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왜구에게 잡혀 자결함 | |||
김광석(金光錫) | 유학(幼學) | 19 | 낙성군파 | 김휼(金霱) | 서울 | 병자호란 때 강도(江都)에서 어머니 정부인(貞夫人) 진주강씨(晉州姜氏)와 함께 순절 |
김범(金範) | 징사(徵士), 옥과 현감(玉果縣監) |
19 | 내원령파 | 김윤검(金允儉)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정려 |
김유(金濡) | 진사 증 영의정 (進士贈領議政) |
20 | 낙성군파 | 김우석(金禹錫) | 서울 | 정려 |
김항(金沆) | 연천 현감 (漣川縣監) |
20 | 낙성군파 | 김명석(金命錫) | 연백(延白) | 정려 |
김하삼(金夏參) | 유학(幼學) | 20 | 영중추공파 | 김용건(金用健) | 장성(長城) | 복호(復戶) |
김유성(金有聲) | 진사 증 호조 좌랑 (進士贈戶曹佐郞) |
20 | 내원령파 | 김신(金紳)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복호復戶 |
김동룡(金東龍) | 증 사헌부 지평 (贈司憲府持平) |
21 | 낙성군파 | 김항(金沆) | 연백(延白) | 정려 |
김탕(金宕) | 유학(幼學) | 21 | 제학공파 | 김응두(金應斗) | 단성(丹城) | 『교남지嶠南誌』, 유허비 |
김환(金瓛)의 배위 안인(安人) 안악양씨(安岳楊氏) | 21 | 내원령파 | 상주 | 열행,『상산지商山誌』 | ||
김상부(金尙溥) | 유학(幼學) | 22 | 제학공파 | 김탕(金宕) | 단성(丹城) | 『교남지嶠南誌』 |
김국주(金國柱) | 유학(幼學) | 22 | 제학공파 | 김연(金硏) | 단성(丹城) | 『교남지嶠南誌』, 『단성지丹城誌』, 『환여승람寰與勝覽』 |
김진명(金鎭鳴) | 유학(幼學) | 22 | 영중추공파 | 김윤태(金潤兌) | 나주(羅州) | 효행록 |
김선장(金善章) | 첨지(僉知) | 23 | 상서공파 | 김천성(金天成) | 괴산 | 『군지郡誌』 |
김려흠(金麗欽)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진명(金鎭鳴) | 나주(羅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정갑(金貞甲) | 증 호조 참판 (贈戶曹參判) |
23 | 상서공파 | 김응탁(金應鐸) | 괴산(槐山) | 정려 |
김렬(金烈)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홍상(金鴻相) | 영광(靈光) | 효행비 |
김순흠(金舜欽)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진택(金鎭澤) | 나주(羅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인수(金寅粹)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응고(金應高)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일흠(金一欽)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진백(金鎭白) | 나주(羅州) | |
김해(金垓)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흥조(金興祖) | 고창(高敞) | 도천(道薦) |
김롱(金壟)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흥조(金興祖) | 고창(高敞) | 도천(道薦) |
김동후(金東垕) | 유학(幼學) | 23 | 영중추공파 | 김광엽(金光曄) | 김제(金堤) | 도천(道薦) |
김희(金熙)의 배위 의성김씨(義城金氏) | 23 | 영중추공파 | 영광(靈光)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문헌보감文獻寶鑑』, 『영광군지靈光郡誌』 |
||
김인준(金仁俊) | 증 사헌부 지평 (贈司憲府持平) |
24 | 전서공파 | 김치룡(金致龍)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
김응현(金應賢)의 배위 문화류씨(文化柳氏) | 24 | 내원령파 | 상주(尙州) | 열행, 『상산지商山誌』 | ||
김한기金漢基 | 유학(幼學) | 24 | 영중추공파 | 김렬(金烈) | 영광(靈光) | 효행비 |
김도관(金道觀) | 유학(幼學) | 24 | 영중추공파 | 김인수(金寅粹)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무령삼강록武靈三綱錄』 |
김양진(金楊鎭) | 유학(幼學) | 24 | 영중추공파 | 김경(金境) | 고창(高敞) | 도천(道薦) |
김복해(金福海) | 유학(幼學) | 24 | 영중추공파 | 김순흠(金舜欽) | 나주(羅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현구(金顯求)의 배위 정부인(貞夫人) 전주이씨(全州李氏) | 25 | 낙성군파 | 해주(海州) | 정려 | ||
김순발(金順發) | 통정대부(通政大夫) | 25 | 내원령파 | 김선립(金善立)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정려비 |
김한성(金漢星)의 배위 경주김씨(慶州金氏) | 25 | 영주추공파 | 영광(靈光)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
김석조(金錫祖) | 유학(幼學) | 25 | 영중추공파 | 김한기(金漢基) | 영광(靈光) | 효행비 |
김찬구(金贊求) | 증 호조판 서(贈戶曹判書) |
25 | 영중추공파 | 김유기(金有基) | 영광(靈光) | 『영광지靈光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정려각 |
김옥철(金玉澈) | 수 자헌대부 (壽資憲大夫) |
25 | 영중추공파 | 김도관(金道觀)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한철(金翰澈) | 유학(幼學) | 25 | 영중추공파 | 김도관(金道觀) | 장성(長城) | 『장성지長城誌』 |
김상정(金相鼎) | 유학(幼學) | 25 | 영중추공파 | 김복해(金福海) | 나주(羅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익권(金益權) | 유학(幼學) | 26 | 전서공파 | 김제렬(金濟烈)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
김윤식(金潤植) | 통정대부 (通政大夫) |
26 | 낙성군파 | 김의구(金義求) | 연백(延白) | 『오륜행실록五倫行實錄』 |
김정식(金鼎式) | 유학(幼學) | 26 | 제학공파 | 김시태(金時泰) | 함안(咸安) | 함안지(咸安誌), 정려 |
김찬윤(金燦允) | 통정대부 (通政大夫) |
26 | 영중추공파 | 김순철(金順澈) | 장성(長城) | 동동국삼강록(東國三綱錄) |
김병식(金秉植) | 군자 감정 (軍資監正) |
26 | 영중추공파 | 김상원(金相元) | 함평(咸平) | 전라도지(全羅道誌) |
김정식(金廷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상원(金相元) | 함평(咸平) | 『함평군지咸平郡誌』, 『해동삼강록海東三綱錄』 |
김장환(金章煥)의 배위 숙부인(淑夫人) 함평이씨(咸平李氏) | 26 | 영중추공파 | 나주(羅州) | 정려 | ||
김봉식(金鳳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상팔(金相八) | 함평(咸平) | 『함평군지咸平郡誌』 |
김두식(金斗植)의 배위 양성이씨(陽城李氏) | 26 | 영중추공파 | 영광(靈光) | 『영광군지靈光郡誌』 | ||
김규식(金奎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찬구(金贊求) | 영광(靈光) | 『무령삼강록武靈三綱錄』 |
김홍식(金洪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석순(金錫順) | 영광(靈光)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상후(金相厚) | 증 좌승지 (贈左承旨) |
26 | 영중추공파 | 김구호(金龜浩) | 무안(務安)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상후(金相厚)의 배위 숙부인(淑夫人) 현풍곽씨(玄風郭氏) | 26 | 영중추공파 | 무안(務安) | 정려 | ||
김문식(金汶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상봉(金相鳳) | 영암(靈岩)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근식(金根植) | 유학(幼學) | 26 | 영중추공파 | 김상봉(金相鳳) | 영암(靈岩)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용훈(金容勳) | 수 가선대부 (壽嘉善大夫) |
26 | 통사공파 | 김시택(金時澤) | 고창(高敞) | 무장지(茂長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용효(金容斅) | 유학(幼學) | 27 | 상서공파 | 김현렬(金顯烈) | 괴산(槐山) | 『군지郡誌』 |
김백일(金栢一) | 수 숭록대부 (壽崇祿大夫) |
27 | 상서공파 | 김덕수(金德洙) | 포항(浦項) | 포상 |
김형(金珩) | 증 동몽 교관 (贈童蒙敎官) |
27 | 제학공파 | 김리원(金履元) | 단성(丹城) | 정려 |
김용삼(金容三) | 유학(幼學) | 27 | 영중추공파 | 김유식(金有植) | 나주(羅州) | 『나주지羅州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효자각 |
김용택(金容宅)의 배위 남평문씨(南平文氏) | 27 | 영중추공파 | 장성(長城)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
김재호(金在浩) | 유학(幼學) | 27 | 영중추공파 | 김찬백(金燦白) | 영광(靈光) | 『전라도지全羅道誌』 |
김용숙(金容淑) | 유학(幼學) | 27 | 영중추공파 | 김찬식(金燦植) | 장성(長城) | 『장성륜강록長城倫綱錄』 |
김용면(金容勉) | 유학(幼學) | 27 | 영중추공파 | 김찬윤(金燦允) | 장성(長城) | 『전라도지全羅道誌』 |
김용오(金容五) 배위 평산신씨(平山申氏) | 27 | 영중추공파 | 영광(靈光)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영광군지靈光郡誌』 |
||
김용표(金容表 | 유학(幼學 | 27 | 영중추공파 | 김근식(金根植 | 영암(靈岩 | 『군지郡誌』 |
김병의(金炳義)의 배위 분성김씨(盆城金氏) | 27 | 통사공파 | 고창(高敞) | 『읍지邑誌』 | ||
김형모(金炯模)의 배위 울산김씨(蔚山金氏) | 27 | 통사공파 | 고창(高敞) | 『읍지邑誌』 | ||
김용문(金容文) | 유학(幼學) | 27 | 통사공파 | 김인기(金仁沂) | 고창(高敞) | 호남지(湖南誌), 고창지(高敞誌) |
김남중(金南重) | 유학(幼學) | 27 | 시랑공파 | 김세항(金世恒)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홍중(金弘重) | 유학(幼學) | 27 | 시랑공파 | 김경득(金慶得) | 금산(錦山) | 『도지道誌』, 『읍지邑誌』 |
김진중(金晉重) | 유학(幼學) | 27 | 시랑공파 | 김경득(金慶得) | 금산(錦山) | 『도지道誌』, 『읍지邑誌』 |
김성렬(金聲列) | 증 동몽 교관 (贈童蒙敎官) |
28 | 제학공파 | 김형(金珩) | 단성(丹城) | 정려 |
김경은(金京垠) | 유학(幼學) | 28 | 영중추공파 | 김용달(金容達) | 영광(靈光) | 『나주지羅州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효행비 |
김인기(金仁基) | 유학(幼學) | 28 | 영중추공파 | 김재호(金在浩) | 영광(靈光) | 『전라도지全羅道誌』 |
김인기(金仁基)의 배위 순천박씨(順天朴氏) | 28 | 영중추공파 | 영광(靈光) | 『전라도지全羅道誌』 | ||
김성호(金性鎬) | 유학(幼學) | 29 | 영중추공파 | 김인기(金仁基) | 영광(靈光) | 『전라도지全羅道誌』 |
김성호(金性鎬)의 배위 평강채씨(平康蔡氏) | 29 | 영중추공파 | 영광(靈光) | 『전라도지全羅道誌』 | ||
김대기(金大基) | 통정대부 (通政大夫) |
28 | 영중추공파 | 김재형(金在衡) | 장성(長城) | 『여지승람輿地勝覽』 |
김기선(金起善)의 배위 행주기씨(幸州奇氏) | 28 | 영중추공파 | 무안(務安) | 『면성군지綿城郡誌』 | ||
김기준(金起焌) | 유학(幼學) | 28 | 영중추공파 | 김용국(金容國) | 영광(靈光) | 『영광군지靈光郡誌』,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길은(金吉垠) | 유학(幼學) | 28 | 영중추공파 | 김용형(金容馨) | 영암(靈岩)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기명(金基命)의 배위 김해김씨(金海金氏) | 28 | 통사공파 | 고창(高敞) | 『군지郡誌』 | ||
김기우(金基佑)의 배위 무송유씨(茂松庾氏) | 28 | 통사공파 | 고창(高敞) | 도천(道薦) | ||
김기화(金基和) | 유학(幼學) | 28 | 통사공파 | 김병의(金炳義) | 고창(高敞) | 『읍지邑誌』 |
김기환(金基奐) | 유학(幼學) | 28 | 통사공파 | 김용훈(金容勳) | 고창(高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기준(金基俊) | 유학(幼學) | 28 | 통사공파 | 김용기(金容騏) | 고창(高敞) | 몽은(蒙恩) |
김용흠(金龍欽) | 유학(幼學) | 28 | 시랑공파 | 김학중(金學重)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률호(金律鎬) | 유학(幼學) | 29 | 통사공파 | 김기환(金基奐) | 고창(高敞) | |
김옥호(金玉鎬) | 유학(幼學) | 29 | 통사공파 | 김기화(金基和) | 고창(高敞) | 『읍지邑誌』 |
김유수(金有洙) | 유학(幼學) | 29 | 시랑공파 | 김성흠(金聲欽)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명수(金明洙) | 유학(幼學) | 29 | 시랑공파 | 김재흠(金在欽) | 금산(錦山) | 『호남지湖南誌』 |
김양호(金養浩) | 유학(幼學) | 30 | 상산군파 | 김상종(金商鍾) | 상주(尙州) | 『상산지商山誌』 |
김탁원(金鐸源) | 유학(幼學) | 30 | 통사공파 | 김선호(金善鎬) | 고창(高敞)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김면식(金勉植) | 증호조참판 (贈戶曹參判) |
30 | 시랑공파 | 김학수(金學洙) | 금산(錦山) | |
김경식(金敬植) | 참서관 (參書官) |
30 | 시랑공파 | 김인수(金仁洙)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태근(金泰根) | 유학(幼學) | 30 | 시랑공파 | 김원수(金元洙)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제근(金濟根) | 유학(幼學) | 30 | 시랑공파 | 김원수(金元洙)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병우(金炳佑) | 유학(幼學) | 31 | 시랑공파 | 김종식(金宗植)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김진영(金鎭永)의 배위 밀양박씨(密陽朴氏) | 유인(孺人) | 32 | 내원령파 | 상주(尙州) | 『웅주전고雄州典故』 | |
김홍기(金洪基) | 통정대부 (通政大夫) |
32 | 시랑공파 | 김병옥(金炳玉) | 금산(錦山) | 『삼강록三綱錄』, 『읍지邑誌』 |
김영기(金榮基) | 유학(幼學) | 32 | 시랑공파 | 김병규(金炳奎) | 금산(錦山) | 『군지郡誌』 |
경기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산 10번지에 위치한다. 고려태조를 비롯하여 현종, 문종, 원종의 위패와 고려시대 국가에 큰 공헌을 한 16분의 공신의 위패를 배향하였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휘 | 시 대 | 관 직 | 세 | 파 속 | 비 고 |
김득배(金得培) | 공민왕 | 정당문학(政堂文學) | 11 | 문충공파 | 옥성서원(玉城書院) 배향 |
※ 16공신 : 복지겸, 홍유, 신숭겸, 유금필, 배현경, 서희, 강감찬, 윤관, 김부식, 김취려, 조충, 김방경, 안우, 이방실, 김득배, 정몽주.
서원은 조선시대에 성리학의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지방에 세운 사학私學의 명칭이다. 16세기 후반부터 세워지기 시작한 서원은 고려말 조선초에 존재하던 서재의 전통을 잇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재의 성격이 단순히 유자孺子의 안거강학安居講學의 장소였던 데 반해 서원은 안거강학의 기능뿐만 아니라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祀廟를 가지고 있었으며 엄격한 학규에 의해 운영되는 특징을 가졌다. 서원은 지방 사림士林세력의 구심점이 되었으며, 나아가 중앙 정치세력의 제지 기반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었다.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은 1543년(중종 38)에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세운 것으로 안향安珦을 봉사奉祀 대상으로 하고 학규는 주희朱熹가 세운 백녹동서원白鹿洞書院의 것을 본받았다. 서원의 인적 구성은 원임院任과 원생院生으로 나누어진다. 원임은 원생의 교육과 서원의 제반 대소사를 관장하는 책임자인 원장院長을 비롯하여 서원의 향사享祀·교육·재정의 실무를 담당하는 유사有司들로 구성되었다. 원생은 양반 자제들 가운데서 유교적 소양을 어느 정도 갖춘 유학들로 구성되었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서원명 | 소재지 | 배향선조 | 관직 | 세 | 파속 |
옥성서원(玉城書院) | 경북 상주시 외남면 신상리124-4 | 김득배(金得培) | 정당문학(政堂文學) | 11 | 문충공파 |
김범(金範) | 징사(徵士) | 19 | 내원령파 | ||
정암서원(正岩書院) | 경기도 용인시 | 김득제(金得齊) | 삼사우사(三司右使) | 11 | 상산군파 |
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연백군 백천읍 치악산 기슭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구계서원(龜鷄書院) | 경남 사천시 사천읍 구암리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노덕서원(老德書院) | 함남 북청군 북청읍 동리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충곡서원(忠谷書院) | 함경도 적성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목계서원(牧溪書院) | 경남 단성군 단성면 방목리 | 김담(金湛) | 유학(幼學) | 18 | 제학공파 |
화암서원(花巖書院) | 경북 상주시 낙동면 화산리 | 김안절(金安節) | 진사(進士) | 19 | 전서공파 |
김도(金濤) | 의흥 현감(義興縣監) | 19 | 전서공파 | ||
효곡서원(孝谷書院) | 경북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324-1 | 김충(金忠) | 전적(典籍) | 18 | 내원령파 |
근암서원(近岩書院) |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148-1 | 김홍민(金弘敏) | 전한(典翰) | 20 | 내원령파 |
봉산서원(鳳山書院) | 경북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584-3 | 김홍미(金弘微) | 대사간(大司諫) | 20 | 내원령파 |
도봉서원(道峰書院) | 경남 창원시 동읍 석산리432 | 김명윤(金命胤) | 동부승지 증 병조 판서 (同副承旨贈兵曹判書) |
21 | 제학공파 |
충현서원(忠賢書院) | 평안도 철산군 여한면 추암동 | 김여기(金礪器) | 증 판서(贈判書) | 22 | 상산군파 |
사우는 묘당廟堂라고도 하며, 민가에서는 가묘家廟라고도 한다. 충신·지사나 지역에 공이 있거나 절개·효행 등으로 모범이 되는 이들의 신주神主·위판位版·영정影幀·소상塑像 등을 모셔 제향 한다.
좌우로 밀어주세요.
서원명 | 소재지 | 배향선조 | 관직 | 세 | 파속 |
귀호사(龜湖祠) | 경북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 김선치(金先致) | 계림 부윤(鷄林府尹) | 11 | 낙성군파 |
김혜(金寭) | 풍기 군수(豊基郡守) | 19 | 낙성군파 | ||
청천사(淸川祠) | 평안도 안주 | 김덕함(金德諴) | 대사헌(大司憲) | 17 | 낙성군파 |
충의단(忠義壇) | 경북 상주시 연원동140-2 | 김일(金鎰) | 증 감찰(贈監察) | 18 | 전서공파 |
충렬사(忠烈祠) | 경북 상주시 만산동699 | 김일(金鎰) | 증 감찰(贈監察) | 18 | 전서공파 |
충의단(忠義壇) | 대구시 동촌 망우당공원 | 김경근(金景謹) | 증 감찰(贈監察) | 19 | 제학공파 |
김응호(金應虎) | 첨정(僉正) | 20 | 제학공파 | ||
김준민(金俊民) | 증 판서(贈判書) | 19 | 제학공파 | ||
도계사(道溪祠) | 경북 상주시 가장동 | 김범(金範) | 징사(徵士) | 19 | 내원령파 |
부연사(釜淵祠) | 전남 장성군 | 김충(金忠) | 중랑장(中郞將) | 8 | 상계 |
김운보(金云寶) | 영중추부사 (領中樞府事) |
11 | 영중추공파 | ||
종용사(從容祠) |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칠백의총 경내 | 김형진(金亨進) | 증 지평(贈持平) | 17 | 영중추공파 |
증산사(甑山祠) | 전남 함평군 나산면 이문리 | 김덕생(金德生) | 좌영호군(左領護軍) | 12 | 영중추공파 |
김몽희(金夢禧) | 밀양 부사(密陽府使) | 17 | 영중추공파 | ||
김한로(金漢老) | 예조 좌랑(禮曹佐郞) | 20 | 영중추공파 | ||
김중선(金重璿) | 유학(幼學) | 21 | 영중추공파 | ||
화암사(花岩祠) | 광주시 광산구 대산동 | 김우생(金佑生) | 승지(承旨) | 12 | 영중추공파 |
원당사(元堂祠) | 전남 장성군 | 김약려(金躍麗) | 충의위 장(忠義衛將) | 18 | 영중추공파 |
창렬사(彰烈祠) | 경남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 내에 위치 | 김준민(金俊民) | 거제 현령 증 병조 판서(巨濟縣令贈兵曹判書) | 19 | 제학공파 |
영광사(永光祠) | 전남 진안군 | 김용구(金容球) | 의병장 | 27 | 영중추공파 |
수산사(首山祠) | 전남 장성군 | 김형진(金亨進) | 증 지평(贈持平) | 17 | 영중추공파 |
도양사(道陽祠) | 경북 안동시 풍산면 도양동 | 김숙종(金淑淙) | 습독(習讀) | 19 | 내원령파 |
오성사(筽城祠) | 전남 장성군 동하면 | 김치원(金致遠) | 시중(侍中) | 6 | 상계 |
김려(金侶) | 찬성사(贊成事) | 7 | 상계 | ||
김충(金忠) | 중랑장(中郞將) | 8 | 상계 | ||
김자송(金子松) | 중랑장(中郞將) | 9 | 상계 | ||
김언(金彦) | 낭장(郎將) | 10 | 상계 | ||
김운보(金云寶) | 영중추부사 (領中樞府事) |
11 | 영중추공파 | ||
김신보(金臣寶) | 도통사(都統使) | 11 | 통사공파 |
상산김씨상산부원군
[내원령파]경북 상주시 가장오갈미길 52-108 (영모재) | 상담위원 김동협(010-6514-2540)
[시랑공파]충남 금산읍 진악로 917-4(시랑공파 족보편찬위원회) | 위원장 김형기(010-9024-7378)
개인정보 책임자 : 김준현 (kimsamhee8439@gmail.com)